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774
한자 政治
영어공식명칭 Politic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호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지역 주민들이 국가 또는 지역사회의 권력을 획득·유지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제반 활동과 그 성격.

[개설]

해방 이후 우리 사회의 정치사에서 지역사회, 특히 군 단위 농촌 지역 주민의 정치적 성향과 특성을 밝혀낸다고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해방 이후 70여 년 동안 우리 사회의 정치사는 중앙정치의 패권적 권력 독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또는 지역 주민은 언제나 중앙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동원되어 왔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에서 한 지역의 정치란 주민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정치적 결과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완주군의 정치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정치의식, 사회조직과 정당 활동, 투표 성향, 그리고 국가 및 자치단체의 정책에 미치는 주민들의 영향력 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거의 없다.

[완주군의 정치]

그동안 치러진 선거의 결과를 기준으로 완주군의 정치를 가늠해 보면, 한국 정치에서 몇 가지 중요한 지역적 특징이 드러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농촌 지역은 여당을 지지하고, 도시에서는 야당 지지율이 높다는 여농야도(與農野都) 현상이 1950년대 이후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 1970년대 이후에는 영남과 호남 사이의 정치적 성향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87년 대통령 선거 이후 지역감정을 선거에 활용하는 정당들의 정치 전략이 본격화하면서 이른바 ‘지역패권주의’가 나타나기도 했다. 대통령선거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는데, 이승만, 박정희 등 여당의 후보들을 당선시키던 완주군 주민들이 1971년 제7대 대선에서 민주당의 김대중 후보에 표를 몰아줌으로써 영남과 호남 간 지역주의를 드러냈다. 그리고 그 이후 대통령 직선제가 폐지되었다가 부활한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이른바 지역감정과 지역갈등 현상이 완주군에서도 여지없이 드러났다. 이후 2017년 제19대 대선까지 완주군민들은 민주당 후보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또한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간단히 정리하면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자유당에 표를 몰아주던 완주군민들은 4·19혁명 이후 제5대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를 당선시켰다. 그리고 5·16군사정변 이후 1971년 제8대 선거까지는 여당인 공화당 후보를 줄곧 당선시켰다.

제9대 선거부터 완주군은 전주, 김제, 진안·무주·장수 등과 통합하여 선거를 치르게 되면서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서 완주군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어려워졌다. 그러나 투표 및 지지율에서 약간의 차이는 보이지만, 1990년대 이후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서도 이러한 추세는 크게 다르지 않다. 지역사회의 정치적 성향은 대체로 지역의 중심도시의 영향을 크게 받는 편이다. 이를테면 호남 지역의 정치적 성향은 전라남도 지역의 광주와 전라북도 지역의 전주를 중심으로 대세가 형성되고, 그 영향이 주변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론의 확산과정은 정당 조직 활동의 흐름과도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완주군의 정치는 전주로부터 형성·확산되는 정치 성향의 흐름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완주군은 일제강점기 후반까지 전주와 하나의 행정구역이었고, 1935년 분리된 이후에도 정치·경제·행정적으로 전주의 영향권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완주의 정치는 호남의 정치적 특성, 그리고 전주 및 전북권의 정치적 특성과 매우 흡사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