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338
한자 竹牖詩集
영어공식명칭 Jukyusijib (Collection of Guk Yeong's poetry and prose works)
이칭/별칭 죽유시고(竹牖詩稿),죽유집(竹牖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종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668년연표보기 - 『죽유시집』 간행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성격 문집
저자 구영(具瑩)
편자 구치성|구치겸
간행자 윤변
권책 3권 1책
행자 9행 20자
규격 19.4×13.8㎝
어미 상하2엽 화문어미
권수제 죽유시고(竹牖詩稿)
판심제 죽유집(竹牖集)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종리 출신의 조선 중기 문신인 구영의 시문집.

[개설]

조선 중기 문신인 구영의 시문집으로, 1668년 아들 구치성(具致成)과 구치겸(具致兼)의 편집을 거쳐 제자 윤변(尹抃)이 3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저자]

구영(具瑩)[1584~1663]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자는 영연(瑩然), 호는 죽유(竹牖)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광해군 때 나라가 혼란한 것을 보고 과거를 보지 않고 학문에 전력했다. 정묘호란 때 분조(分朝)를 도운 공로로 소무원종공신(昭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조 때 회인현감(懷仁縣監) 등을 지냈다.

[편찬/간행 경위]

『죽유시집(竹牖詩集)』은 1668년 아들 구치성(具致成)과 구치겸(具致兼)의 편집을 거쳐 광주목사로 있던 제자 윤변(尹抃)이 장성(長城) 도호부사(都護府使) 소두산(蘇斗山)과 합심하여 3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윤변을 비롯한 소규(蘇珪), 박광후(朴光後) 등 31명의 명단이 기록된 간기(刊記)가 있다.

[형태/서지]

『죽유시집(竹牖詩集)』은 3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판본이다. 크기는 29.5×18.5㎝이며, 반곽(半郭)은 19.4×13.8㎝이다. 사주쌍변(四周雙邊)[지면의 둘레를 두 개의 검은 선으로 두름]이며, 9행 20자이다. 어미(魚尾)[책을 펼쳤을 때 중앙에 물고기 꼬리 문양의 접지표]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죽유시집(竹牖詩集)』은 3권 1책이며, 내용은 시(詩), 묘지명(墓誌銘), 부록(附錄) 등으로 구성되었다. 1권에는 오언절구 39수, 칠언절구 101수가 수록되었으며, 2권에는 오언율시 31수, 오언고시 3수, 칠언율시 41수, 칠언배율 1수, 묘지명 2편이 수록되었다. 3권에는 부록으로 만사(輓詞), 제문(祭文),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체별(詩體別)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체는 대체로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시의 내용은 자연과 인생, 그리고 우국충정과 시사에 대한 감회를 읊은 것을 비롯하여 일반적인 만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구영『죽유시집(竹牖詩集)』에 수록된 작품은 격조가 높고 청신한 의취가 서려 있어 송시열과 이경석(李景奭)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혼란한 시대상에 처한 작가의 현실인식과 작품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죽유시집(竹牖詩集)』
  •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