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댁 꼬댁 꼬댁각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303
영어공식명칭 Ggodaek Ggodaek Ggodaekgaksi (Folk Song)
이칭/별칭 「꼬댁각시」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2년 3월 - 「꼬댁 꼬댁 꼬댁각시」 김익두가 김종니에게 채록
채록지 「꼬댁 꼬댁 꼬댁각시」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지도보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서사민요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한 여성의 비극적 삶이 담긴 서사 민요.

[채록/수집 상황]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 수록되어 있다. 1982년 3월에 김익두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 김종니[여, 49세]로부터 「꼬댁 꼬댁 꼬댁각시」라는 제목으로 채록했다.

[구성 및 형식]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눠진다. 전반부는 꼬댁각시의 비극적 일생이 서사적으로 구연이 되고, 후반부는 꼬댁각시의 혼을 불러 빙의하는 무의식(巫儀式) 놀이가 치러진다.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정월 초하룻날이나 추석 즈음 동네 부녀나 처녀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인 뒤, 한 사람을 꼬댁각시로 지정하고 「꼬댁 꼬댁 꼬댁각시」를 반복적으로 부른다. 노래를 부르다 보면 꼬댁각시 혼이 실려 맹렬하게 춤을 추거나 신기한 행동을 하게 된다. 즉 불쌍한 꼬댁각시의 혼이 어느 한 사람에게 빙의하면 공수를 내리는 등 실제 무속 의례를 방불케 하는 굿놀이를 즐기게 된다. 이런 점에서 여느 시집살이 서사민요와 구별되는 굿놀이형 서사민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채록한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이 여인의 비극적 일생을 자살로 마감하는 데까지만 짧게 부르고 있다.

[내용]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한 살 먹어 엄마 죽고 두 살 먹어 아버지 죽는’ 대목에서 시작하여 ‘요놈의 세상살이 못 살것느니라’로 맺고 있다. 김종니가 부른 내용은 서사와 묘사가 단순한 감이 있다. 또 사설 진행이 순차적이지 못하고 엄벙덤벙하다. 아마도 가창자가 오랜만에 불러 기억나는 대로 부르다 보니 그렇게 된 듯하다.

꼬댁 꼬댁 꼬댁각시 한 살 먹어 엄마 죽고 두 살 먹어 아부지 죽어 // 세 살 먹어 말 배워 네 살 먹어 걸음 배워 다섯 살 먹어 외갓집 찾아가니 //

외숙모는 베를 짜다 뜰침대로 밀어 놓고 외삼촌은 글을 읽다 글침대로 밀어 놓고 // 낮이밥이라고 지여 주니 먹고 생각허니 기가 맥혀 그럭저럭 시집이라고 가고 보니 //

가매 방석이라고 가져온 것이 짐소코리로 가져 왔소 // 시집 간 삼일만에 시어머니 죽었고나 //

시어머니 죽은 샘일만에 시아버지 죽었고나 // 시아버지 죽은 샘일만에 서방님이 죽고 보니 //

요놈의 세상살이 못 살것느니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꼬댁 꼬댁 꼬댁각시」 노래를 부르면서 굿놀이를 체험하고 즐기는 유형으로 ‘춘향이 놀이’도 있다. 춘향이 놀이도 여성들끼리 모여 한 사람을 지정한 뒤 다 같이 노래를 부르다 보면 춘향의 혼신이 씌어서 이상한 행동을 자아내는데, 굿 의식을 차용해 일상에서 놀이로 즐기는 문화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의의와 평가]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정월 초하룻날, 추석 등 명절이나 세시풍속이 있는 날 마을 부녀자들이 결속력을 강화하고 마을 공동체 정신을 길러내는 민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