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아산문화대전 > 아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전통 시대 인물 > 문무 관인
-
조선 전기 아산현의 복현에 힘쓴 문신. 김구(金鉤)[1381~1462]는 1416년(태종 16) 문과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이 된 뒤 세종, 단종, 세조에 걸쳐 홍주판관(洪州判官), 사간원(司諫院) 우사간대부(右司諫大夫),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 집현전부제학(集賢殿副提學),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중추원지사(中樞院知事) 등을 지냈다. 특히 성균...
-
고려 초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활약하였던 문신.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즉위한 918년에 충청 지역과 직간접으로 연관된 모반이 여럿 발생하였다. 왕건은 이에 대한 모반 확산 방지 및 아산만 일대 장악을 위해 아주(牙州)[현재 충청남도 아산시]로 관리를 파견하였는데, 바로 김행도(金行濤)였다. 고려 태조 왕건이 즉위한 918년 첫 해에 모반이 6차례 발생하였...
-
충청남도 아산 출신이자 청백리의 상징인 조선 전기 때 문신. 맹사성(孟思誠)[1360~1438]은 권근(權近)의 문하에서 수학한 후 1386년(우왕 12) 문과에 장원급제하면서 춘추관검열(春秋館檢閱)을 거쳐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뒤 태조 때 예조의랑(禮曹議郎)이 된 이래 정종, 태종, 세종 대까지 4대 왕을 모셨다. 맹사성은 청백리의...
-
고려 말 충청남도 아산 출신의 효자이자 문신. 맹희도(孟希道)[1337~?]는 1365년(공민왕 14) 문과에 급제하여 한성좌윤(漢城左尹), 전교부령(典校副令), 전교령(典校令), 수문전제학(修文殿提學) 등을 지냈고, 우의정에 증직(贈職)되었다. 고려 말의 두문동(杜門洞) 72인 중의 한 명으로서 1388년(우왕 14)에 관직을 버리고 온양의 금곡촌(金谷村)[현재 배방읍...
-
조선 후기 충청남도 아산에서 성장하였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삼도수군통제사로서 큰 공을 세운 후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장수. 이순신(李舜臣)[1545~1598]은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5월에 옥포(玉浦)[현재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 앞바다에서 첫 승리를 거둔 이후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에서 적선(敵船)을 크게 격퇴하여 왜군의 전의를 상실시...
-
조선 전기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덕수이씨 입향조이자 충무공 이순신의 아버지. 이정(李貞)[1511~1583]은 아산 지역의 덕수이씨(德水李氏) 입향조(入鄕祖)이다.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당한 후 가정형편이 어려워져 처가가 있는 아산현 남면 백암리 뱀밭[현재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으로 들어와 터를 잡아 현재까지 후손들이 살고 있다. 이정은 비록 벼슬이나 공직에서 크...
-
고려 후기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활약하였던 수군 장수. 고려가 몽골의 침략에 맞서 항전할 때 온수현(溫水縣)[현재 충청남도 아산시]에 몽골병이 난입하였다. 이에 장군 이천(李阡)이 온수현에서 몽골군과 싸워 승리하였다. 이천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아들은 이자원(李子蒝), 손자는 이언충(李彦冲), 증손자는 이광기(李光起)이다. 고려 고종 대에 몽...
-
충청남도 아산을 본관으로 하는 조선 전기 때의 과학자. 장영실(蔣英實)[1390?~1450?, 생몰년 미상]은 노비 출신으로 미천한 신분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 물시계인 자격루(自擊漏)와 해시계를 제작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다. 장영실의 출생과 내력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세종실록』에는 "아버지가 중국 원나라 소항주(蘇杭...
-
조선 중기 충청남도 아산 출신의 문신.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조선 14대 왕 선조 때 활동한 문신이다. 과거시험을 통해 벼슬에 나아간 것은 아니었으나 임진왜란 중 왜군을 막은 공이 크며,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힘을 보탰다. 강직하고 온후한 인품으로 목민관의 역할을 다하였고, 불천지위(不遷之位)[큰 공훈이 있어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