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418 |
---|---|
한자 | 具仁繼 |
영어공식명칭 | Gu Ingye |
이칭/별칭 | 효중(孝仲),치암(癡庵)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서변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구본욱 |
출생 시기/일시 | 1607년![]() |
---|---|
몰년 시기/일시 | 1662년 5월 7일![]() |
출생지 | 순호리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순호리 |
거주|이주지 | 무태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 ![]() |
수학|강학지 | 영모당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 |
묘소|단소 | 구인계 묘소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능성(綾城) |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구인계(具仁繼)[1607~1662]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자는 효중(孝仲), 호는 치암(癡庵)이다. 할아버지는 구대성(具大成)이고, 아버지는 첨정 구회신(具懷愼)이다. 어머니는 풍천임씨(豐川任氏)이다.
구인계는 1607년(선조 40) 지금의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순호리에서 태어났다. 대구 무태(無怠)[현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서변동]로 이주하여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영모당통강제자록(永慕堂通講諸子錄)』에 따르면, 스승 손처눌이 사망하였을 때는 애통함이 심하여 상제와 같은 마음으로 말과 행동을 삼갔고 평생 손처눌의 기일에는 목욕재계하고 소식(素食)하였다고 한다. 구인계는 1662년(현종 3) 5월 7일 사망하였다.
구인계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의 창포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