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504 |
---|---|
한자 | 龍岡書院 |
영어공식명칭 | Yonggang-seowon |
이칭/별칭 | 충렬사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33길 101[이곡동 1343-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충희 |
건립 시기/일시 | 1696년![]() |
---|---|
이전 시기/일시 | 1804년![]()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용강서원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8년 - 용강서원 복원 |
현 소재지 | 용강서원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33길 101[이곡동 1343-1]![]() |
원소재지 | 충렬사 -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동
![]() |
성격 | 서원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5칸[강당]|3칸[사당]|3칸[재실] |
측면 칸수 | 1.5칸[강당]|1칸[사당]1.5칸[재실] |
소유자 | 김해허씨 상무헌 낙암 양공파 종중 |
관리자 | 김해허씨 상무헌 낙암 양공파 종중 |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에 창건한 서원.
용강서원(龍岡書院)은 1696년(숙종 22)에 상무헌(尙武軒) 허득량(許得良)[1597~1637]과 낙암(洛庵) 허복량(許復良)[1602~1637]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동에 ‘충렬사(忠烈祀)’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허득량과 허복량은 사촌 형제 사이인데, 무술을 익혀 국가에 공을 세운 무인들이다. 허득량은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3등에 녹훈되고 절충장군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허득량과 허복량은 광주(廣州) 쌍령(雙嶺) 전투에서 용감히 싸우다가 모두 전사하였다. 국가에서는 허득량과 허복량의 공을 높이 평가하여 허득량은 병조판서에 추증하고, 허복량은 병조참판에 추증하였다.
용강서원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33길 101[이곡동 1343-1]에 있다. 와룡산 자락에 자리 잡은 용강서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성주도씨 문중에서 관리하는 병암서원(屛岩書院)이 있다.
충렬사가 1804년(순조 4)에 지금의 이곡동 자리로 이건하면서 용강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다가 1988년에 복원하였다.
용강서원 강당인 숭현당(崇賢堂)은 정면 5칸, 측면 1.5칸의 팔작지붕이다. 사당인 충렬사(忠烈祠)는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재실인 용강재(龍岡齋)는 정면 3칸, 측면 1.5칸이다.
용강서원은 지역 주민들이 늘 지나다니는 와룡산 등산로 입구에 있다. 김해허씨 상무헌 낙암 양공파 종중에서 향사를 지내며 관리하고 있다.
용강서원은 국난 극복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무신을 추앙하는 서원이다. 용강서원 주변에는 대구선원초등학교를 비롯하여 다수의 중고등학교가 있어 전통문화 체험 교육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