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1278 |
---|---|
영어공식명칭 | Noraetgarak (Folk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3년 8월 10일 - 「노랫가락」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
---|---|
채록지 | 「노랫가락」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가창권역 | 「노랫가락」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유희요 |
토리 | 경토리 |
출현음 | 솔라도레미솔라 |
기능 구분 | 유희요 |
형식 구분 | 독창|교환창|제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 |
가창자/시연자 | 김위달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유희요.
[개설]
「노랫가락」은 경기지역 통속민요이지만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지역에서도 노랫가락이 자주 채록된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의 부드러운 선율과는 다르게 도약 진행이 자주 일어난다.
[채록/수집 상황]
「노랫가락」은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58-859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0일이다.
[구성 및 형식]
「노랫가락」은 교환창 또는 제창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 형식이나 현재는 독창으로도 부른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채록된 「노랫가락」은 사설이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화자가 비록 기생이지만 굳은 절개가 있어 뜻을 굽히지 않겠다고 하는 내용이다. 사설은 온전하지 못하며 짧게 채록되었다.
[사설 1]
친구맹서한 씨러진낭기/눈비온다꼬 일어나나
송죽같이 굳은절기/매맞는다 굽힐쏜냐
내아모리 기생일망정/절기조창도 없일손냐
얼씨구나절씨구나 지화자좋네/
아니노지를 못하리라/
잩에사람은 구경을하고/먼데사람은 이렇기쪽
[사설 2]
짖꾸땡이바람에 논팔아묵고/집이라꼬 돌아오니
마누라조창 도망을갔네/
방이라꼬 드라다보니/실꾸리란늼이 춤을추고
정지문을 열고보니/행주란늼이 땜을치고
벤소문을 열어보니/키더리란늼이 덕쑤를치고
도장문을 열어보니/생쥐란늼이 딴수를치고
집안이라 돌아보니/청룡황룡을 기맀는데
석가래는 나발을불고/어찌할수가 없더란다
[현황]
「노랫가락」은 현재도 흔히 불리는 노래로 전국적 분포와 유행을 보인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노랫가락」은 대구광역시 지역 민요는 아니지만, 사설이 경기통속민요와 다르게 대구지역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