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족리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1302
한자 三足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0년 6월 20일 - 「북양리 충절비 이야기」 김찬모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1년 9월 30일 - 「북양리 충절비 이야기」 『한국구비문학대계 1-5: 경기도 수원시·화성군편』에 수록
채록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유희분|천마

[정의]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삼존리에 살았던 조선 광해군 때의 권신 유희분과 관련한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81년 9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1-5: 경기도 수원시·화성군편』에 「삼족리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508~509쪽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삼족리 이야기」는 1980년 6월 20일 송산면 사강리에서 채록되었으며, 구연자는 김찬모[남, 64세], 조사자는 성기열, 최명동, 김용범이다. 자료 문면에 삼족리(三足里)로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 해당 지역의 지명은 삼존리(三尊里)이다. 구연 채록 과정에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문면의 구연자가 유희분의 당대 별칭이 삼족(三足)이라 삼족리라 불러졌다고 지칭의 근거를 밝히고 있음에 이를 존중하여 수록 자료에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화성시 구비전승 및 민속자료 조사집』5-송산면 편 125쪽에는 「용마를 타고 다닌 대감」이라는 설화가 수집되어 있다. 내용은 삼존리에 살던 대감이 입궐 시간을 울음소리로 알려주던 날개 달린 용마를 타고 다녔는데 하루는 울지 않아 입궐을 못하고 결국 역적으로 몰려 귀양을 갔다는 것이다. 유희분이라는 이름은 드러나지 않으나 삼존리에 살던 유희분과 특별한 능력을 가진 용마에 관한 전설로 볼 수 있다.

[내용]

화성시 송산면삼족리라는 곳이 있다. 조선 광해군 때 세도를 떨치던 광해군의 처남 유희분(柳希奮)이 당시 삼족(三足)이라 칭해져서 삼족리라고 불러졌다. 유희분은 병조판서로 군사와 국방을 담당하였는데 그 권세가 아주 대단하여 개인 군사들을 거느리기까지 했다. 당시 거느리던 사병(私兵) 군사들이 유희분이 살던 마을에 성을 쌓고 주둔하였는데, 그때 쌓은 사성(私城)이 지금도 남아 있다.

유희분이 타고 다니던 말 한 필이 있었는데, 이 말은 한양 조정의 조회 시간에 제때 도착할 수 있도록 출발 시간을 울음으로 알려주는 신통한 능력이 있는 천마(天馬)였다. 그런데 인조반정이 일어나던 날에는 말이 울지 않았다. 말이 울지 않은 바람에 늦게 출발한 유희분은 반정 거사로 인해 궁으로 들어가는 길이 통제되어 조정에 들어가지 못했고, 문산동(汶山洞) 집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집에 도착한 유희분은 울음소리를 내지 않아 인조반정을 막지 못한 것에 말을 집 앞에서 칼로 찔러 죽였다. 이 천마의 말무덤은 문산동 논 가운데 아직 남아 있다. 문산동 집으로 피신해 있던 유희분은 아우 유희발과 함께 잡혀 갔고 이후 사형을 당했다.

[모티프 분석]

「삼족리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광해군의 처남으로 당대 최고 권세를 누리던 유희분의 말이 신통한 능력이 있던 천마였는데 끝내 죽임을 당한 것이다. 이 천마의 신통한 능력은 멀리 떨어져 있는 한양 조정에서 일어나는 미래의 조회 시간을 정확히 예기하여 울음소리로 미리 출발할 시각을 알려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예지력이 있음에도 중요한 인조반정의 날에는 울음소리로 알려주지 않았다. 국가의 군대와 많은 군사를 통솔하며 권세를 떨치던 병조판서 유희분이 인조반정을 막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출근하는 시각을 늦추어 입궁을 막아 결론적으로는 반정 거사를 성공하게 만든 것이다. 이로써 하루아침에 유희분은 세도가 일등공신에서 숙청의 대상인 역적이 된다. 유희분은 주인인 자신과의 의리를 배신하고 자신을 실패하게 만든 것에 분개하여 천마를 죽인다. 유희분이 올랐던 병조판서는 국가 병력의 통수권자로 한 나라 군대의 수장이다. 이에 장수가 나면 용마가 난다는 속담처럼 병마지권의 위세를 가진 유희분 곁에도 뛰어난 천마가 있었다고 설정한 것이다. 그러나 천마는 주인에게 충성하는 보통의 동물이 아니라, 장수의 조력자로서 역사의 흐름에 관여하는 신이한 존재이다. 결국 유희분을 조력하던 행위를 단절한 천마의 행동은 권력을 내세워 무참한 횡포를 자행하던 광해군 시절을 종식하려는 인조반정의 새로운 역사적 흐름에 순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광해군 시절의 폭정과 인조반정을 바라보는 일반 민중의 시각을 대변한다. 그렇기에 유희분의 천마는 주인을 배신한 나쁜 짐승이 아니라, 옳은 일을 한 후 죽임을 당한 신비의 동물로 기억된다. 이에 말무덤은 무고한 생명을 무참히 도륙한 악행의 역사를 반추하며 천마의 억울한 죽음을 기리던 삼존리 지역민의 성찰과 기억의 장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