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다른 시·군 및 군내의 읍면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되는 산과 산 사이의 낮은 부분. 고개는 산 정상을 잇는 능선 중에서 상대적으로 주변에 비해 낮아서 편리한 교통수단이 발달하기 이전에 사람들이 넘어다녔으며 지금도 사용되는 길목을 일컫는다. 현재는 건설기술의 발달로 터널, 교각 등을 부설하여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형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도로를 건설하...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불리는 각설이패들의 구전민요로 숫자풀이에 기반한 유희요. 「장타령」, 「품바타령」 등으로 불리는 「각설이 타령」은 본래 걸인 또는 걸립패 등이 부르다가 점차 민간으로 확산하였다. 민간에서는 「각설이 타령」을 놀면서 불러 유희요로 자리 잡았다. 특히 1에서 10까지 숫자를 들먹이며 노래하는 ‘숫자풀이’가 전국적으로 유행하면서 각종 노래...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부녀자들이 손에 손을 잡고 큰 원을 이루어 돌면서 불렀던 유희요. 강강술래는 추석날 밤이나 달 밝은 밤에 부녀자들이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돌면서 놀았던 놀이이다. 원형으로 돌면서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는데 한 사람의 가창자가 보통 2음보의 사설을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강강술래”라는 후렴으로 받는다. 메기는소리의 「강강술래」는 강강술래 놀이를 위한...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부녀자들이 손에 손을 잡고 큰 원을 이루어 돌면서 불렀던 유희요. 강강술래는 추석날 밤이나 달 밝은 밤에 부녀자들이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돌면서 놀았던 놀이이다. 원형으로 돌면서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는데 한 사람의 가창자가 보통 2음보의 사설을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강강술래”라는 후렴으로 받는다. 메기는소리의 「강강술래」는 강강술래 놀이를 위한...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시집살이 서사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 주민 진선순[여, 62세]이 부른 「시집살이노래」는 1991년 1월 18일 채록되어 1995년 발간된 문화방송의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CD와 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진선순의 친정은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으로, 가창자는 「시집살이노래」를 자신의 친정어머...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덕동리에서 강효자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강응정(姜應貞)을 배향하는 효암서원(孝巖書院)에는 효자 강응정 정려각이 있고, 현판에는 ‘효자성균생원강응정지려(孝子成均生員姜應貞之閭)’라고 적혀 있다. 「강효자」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24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덕동 정자나무에서 이야기 주인공의 후손 강원희[남, 57세...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 거북바위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거북바위의 내력」은 일종의 마을 유래담에 속한다. 마을에 있는 주요한 산, 하천, 바위, 나무 등 특징적인 사물이 생겨난 연유를 설화적 요소로 이야기하고 있다. 「거북바위의 내력」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6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구암마을 오용근[남, 71]에게 채록...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에서 거지들에게 식량, 옷, 이불 등을 주며 살다 간 양반 이거두리라는 인물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지들과 생활을 함께한 이거두리」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2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일임마을 주민 이우인[남, 72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32~333쪽에 「거지들과...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에 전하는 모악산에 배를 대던 걸치기재와 쉰질바위에 대한 전설. 「걸치기재와 쉰질바위」는 1996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걸치기재와 쉰질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걸치기재는 옛날에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으로, ‘소릿길’이라고 불렸다. 고개가 가파르고 험해서 먼 길을 가다 지친 나그네들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에서 고려장과 관련해서 전해오는 이야기. 고려장은 고려시대에 늙은 부모를 산 채로 버리던 악습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실 이는 일제강점기에 왜곡되었다. 고려시대의 법률을 보면 최고의 형벌이 반역죄와 불효죄였는데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고려장은 역사적인 사실이라기보다 노인의 지혜를 강조하기 위한 설화적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고려장...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고사리 타령」은 산지가 대부분인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고사리 같은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고사리를 꺾어다가 나물 반찬을 만들어 남편 밥상에 낸다는 내용이다. 「고사리 꺾는 노래」, 「고사리 노래」라고도 한다. 「고사리 타령」은 1980년 1월...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고사리 타령」은 산지가 대부분인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고사리 같은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고사리를 꺾어다가 나물 반찬을 만들어 남편 밥상에 낸다는 내용이다. 「고사리 꺾는 노래」, 「고사리 노래」라고도 한다. 「고사리 타령」은 1980년 1월...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고사리 타령」은 산지가 대부분인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고사리 같은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고사리를 꺾어다가 나물 반찬을 만들어 남편 밥상에 낸다는 내용이다. 「고사리 꺾는 노래」, 「고사리 노래」라고도 한다. 「고사리 타령」은 1980년 1월...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에서 곰보사위에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곰보사위 이야기」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12일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옷바우마을 김판용[남, 80세]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08~218쪽에 「곰보사위 이야기」로 수록했다. 중신아비[남의 혼인을 중매하는 남자]가 중신을 잘해서 어떤 사람이 장...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르는 과부 신세타령류의 민요. 「과부노래」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과부가」로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양천수[여, 60세]에게 「과부노래」를 채록했다. 양천수는 「과부노래」를 시집 와서 배웠다고...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르는 과부 신세타령류의 민요. 「과부노래」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과부가」로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양천수[여, 60세]에게 「과부노래」를 채록했다. 양천수는 「과부노래」를 시집 와서 배웠다고...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르는 과부 신세타령류의 민요. 「과부노래」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과부가」로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양천수[여, 60세]에게 「과부노래」를 채록했다. 양천수는 「과부노래」를 시집 와서 배웠다고...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이몽룡의 광한루 구경을 소재로 해서 부르는 가창 유희요. 「광한루가」는 어느 봄날 방자를 데리고 남원의 명승지 구경에 나선 이몽룡이 전라북도 남원시 광한루에 올라서 바라보는 주변 경치와 거기서 느끼는 심정을 노래한 가창 유희요이다. 붕어가 물풀에 엉기는 모습을 보고 임의 품에 안기고 싶은 심정을 표현하고, 나뭇가지에 앉아 우는 새를...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신정마을에 전해오는 구렁이와 여자의 혼인 이야기. 「구렁덩덩 세선비」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6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 신정마을 정신애[여, 69]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79~82쪽 「구렁덩덩 세선비」로 수록했다. 또한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서도 비슷한 내용인 「구렁당당 서선비와 그...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사설시조의 하나로 소년들에게 공부와 효도를 권장하는 민요.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에서는 당시 조사한 녹음테이프를 파일로 변환하여 음원을 서비스하고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상학마을에서 조사한 민요도 대부분 음원이 확인되고 있는데, 「권학가」는 들을 수 없다. 「권학가」는 『한국구비문학대계』5-...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기생의 지조와 절개를 소재로 하여 전하는 유희요. 「기생노래」는 화자가 몸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지조와 절개는 굳건해서 송죽[소나무와 대나무]처럼 변치 않음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여성들이 잔치나 모임에서 부르던 가창유희요 가운데 하나이다. “파릇파릇 봄배추는 봄비오기만 기다리고 / 옥에갇힌 춘향이는 이도령오기만 기다린다 / 모지도다 독하도다...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기생의 지조와 절개를 소재로 하여 전하는 유희요. 「기생노래」는 화자가 몸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지조와 절개는 굳건해서 송죽[소나무와 대나무]처럼 변치 않음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여성들이 잔치나 모임에서 부르던 가창유희요 가운데 하나이다. “파릇파릇 봄배추는 봄비오기만 기다리고 / 옥에갇힌 춘향이는 이도령오기만 기다린다 / 모지도다 독하도다...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서 전해오는 호랑이로 둔갑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 「효자 호랑이 김용담」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26일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마을 권덕만[남, 70대 중반]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35쪽에 「효자호랑이 김용담」으로 수록되어 있다. 무형문화유산온라인지식사전 누리집에서는 「김용담 호랑...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서 전해오는 호랑이로 둔갑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 「효자 호랑이 김용담」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26일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마을 권덕만[남, 70대 중반]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35쪽에 「효자호랑이 김용담」으로 수록되어 있다. 무형문화유산온라인지식사전 누리집에서는 「김용담 호랑...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한 여성의 비극적 삶이 담긴 서사 민요.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 수록되어 있다. 1982년 3월에 김익두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 김종니[여, 49세]로부터 「꼬댁 꼬댁 꼬댁각시」라는 제목으로 채록했다.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눠...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한 여성의 비극적 삶이 담긴 서사 민요.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 수록되어 있다. 1982년 3월에 김익두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 김종니[여, 49세]로부터 「꼬댁 꼬댁 꼬댁각시」라는 제목으로 채록했다. 「꼬댁 꼬댁 꼬댁각시」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눠...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지역에서 부르는 말잇기 노래. 「나무가세」는 「말잇기노래」 또는 「말꼬리잇기노래」라고 한다. 유희요 가운데 말장난, 말놀이 과정에서 언어 자체가 놀이의 대상이기 때문에 언어유희요라고 부른다.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말놀이 노래를 통해서 말 배우기를 학습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언어유희요는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하위유형으로 분류한...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지역에서 부르는 말잇기 노래. 「나무가세」는 「말잇기노래」 또는 「말꼬리잇기노래」라고 한다. 유희요 가운데 말장난, 말놀이 과정에서 언어 자체가 놀이의 대상이기 때문에 언어유희요라고 부른다.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말놀이 노래를 통해서 말 배우기를 학습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언어유희요는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하위유형으로 분류한...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에 전하는 효자 나무꾼의 이야기.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는 1980년 2월 1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의 백옥련화[여]로부터 채록해,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 「나뭇군과 선녀」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어느 동네에 마음씨 좋은 나무꾼이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었다. 이 총각은 자신보다 어머니를 더 위하는 효자였다. 다...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승되는 남도잡가. 남도잡가란 조선 후기의 광대나 사당패 등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전라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창출된 민요를 지칭한다. 대개는 판소리를 부르는 전문 소리꾼이 병행해서 잡가를 부른다. 고종 때 전라남도 옥과(玉果)[현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에서 풍류하던 율객(律客) 신방초(申芳草)가 나와서 「화초사거리」를 만들어 부른 것이 잡가의...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승되는 남도잡가. 남도잡가란 조선 후기의 광대나 사당패 등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전라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창출된 민요를 지칭한다. 대개는 판소리를 부르는 전문 소리꾼이 병행해서 잡가를 부른다. 고종 때 전라남도 옥과(玉果)[현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에서 풍류하던 율객(律客) 신방초(申芳草)가 나와서 「화초사거리」를 만들어 부른 것이 잡가의...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기생의 지조와 절개를 소재로 하여 전하는 유희요. 「기생노래」는 화자가 몸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지조와 절개는 굳건해서 송죽[소나무와 대나무]처럼 변치 않음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여성들이 잔치나 모임에서 부르던 가창유희요 가운데 하나이다. “파릇파릇 봄배추는 봄비오기만 기다리고 / 옥에갇힌 춘향이는 이도령오기만 기다린다 / 모지도다 독하도다...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연인이 그네를 타면서 불렀던 민요. 「노랫가락」은 「창부타령」이나 「닐니리야」처럼 가창 지역이 전국화된 대표적인 노래이다. 음악적 기원은 서울·경기 지역의 무악(巫樂)에 두고 있다. 한편으로는 「노랫가락」과 시조창의 밀접한 친연성에 주목해 무녀들이 시조창을 수용해서 부르기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오히려 시조창이 「노랫가락」의 영향...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가족을 노리개에 빗대어 부르는 유희요. 「노리개타령」은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 수록되어 있다. 김종두는 1982년 3월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 주민 김생관[여, 66세]에게 「노리개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채록했다.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 전라북도 완주군 주민 조옥례, 김순례가 부른 「노리개 노...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가족을 노리개에 빗대어 부르는 유희요. 「노리개타령」은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 수록되어 있다. 김종두는 1982년 3월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 주민 김생관[여, 66세]에게 「노리개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채록했다.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 전라북도 완주군 주민 조옥례, 김순례가 부른 「노리개 노...
-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서 여럿이 논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전라북도 완주 지역의 논매는 소리로는 「방개소리」, 「사허소리」, 「우야소리」가 조사·보고되었다. 김익두와 유화수가 1982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에서 유유동[남, 66세], 이천희[남. 65세], 이충원[남. 74세] 외 여러 명으로부터 「방게소리」와 「쌈...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성춘향이 이몽룡과 이별 후 슬퍼하는 모습을 소재로 부르던 노동요. 「눈물강도 강일레라」는 성춘향이 이몽룡과 이별하고 집에 돌아와 대성통곡하며 슬픔에 겨워하는 모습을 소재로 해서 부른 노래이다. 부녀자들이 삼삼기나 베짜기와 같이 오랜 시간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길쌈 노동을 하면서 일의 지루함과 고통을 달래기 위해서 부른 노동요이...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성춘향이 이몽룡과 이별 후 슬퍼하는 모습을 소재로 부르던 노동요. 「눈물강도 강일레라」는 성춘향이 이몽룡과 이별하고 집에 돌아와 대성통곡하며 슬픔에 겨워하는 모습을 소재로 해서 부른 노래이다. 부녀자들이 삼삼기나 베짜기와 같이 오랜 시간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길쌈 노동을 하면서 일의 지루함과 고통을 달래기 위해서 부른 노동요이...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르는 고개 타령. 「다리 아파 넘던 고개」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수록된 민요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송만성[여, 76세]에게 「다리 아파 넘던 고개」로 채록했다. 「다리 아파 넘던 고개」는 서비스 목록에 올...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에 전하는 방귀 냄새를 팔아서 부자가 된 이야기. 「단방구」는 황인덕이 2001년 11월 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의 김형식[남, 67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91~494쪽에 「단방구」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옛날 어느 산골에 마음씨 착한 농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농부는 산으...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에서 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소리. 「달강달강 밤한톨」은 아기가 앉기 시작할 때쯤 아기의 몸을 가볍게 움직이게 하면서 어를 때 부르는 육아노동요이다. 가창자는 아기를 돌볼 수 있는 사람으로 주로 아기의 조부모나 부모이고 때로는 손위 형제일 경우도 있다. 노래의 주요 제재인 생쥐와 밤 한 톨의 이야기에 동심다운 상상력이 담겨 있다....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조혼 풍습을 노래한 일종의 유희요. 「팔랑팔랑 홍갑사댕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최래옥, 조옥례 등에게서 총 34편의 민요를 조사했다. 「팔랑팔랑 홍갑사댕기」 가창자는 조...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에서 도술꾼 국사철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술꾼 국사철」은 황인덕이 2001년 9월 2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주민 이우인[남, 72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96~302쪽에 「도술꾼 국사철」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옛날에 국사철이라는 도술꾼이 있었는데 전라감영으로...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전승되는 민요로 각종 동물들의 특징을 인간의 모습과 연결해 부르는 유희요. 「똥그랭 땅」은 각종 동물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인간의 모습이나 직업과 연계시켜 부르는 유희요의 일종이다. 특정 동물의 특성을 인간의 모습이나 직업과 절묘하게 비유하면서 익살과 웃음을 유발한다. 이런 종류의 노래는 주로 잔치나 놀이판에 흥을 돋우기 위해...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전하는 은혜 갚은 두꺼비의 이야기. 「두꺼비의 보은」은 1995년 9월 21일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의 신복순[여, 78세]으로부터 채록해, 1996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두꺼비의 보은」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한 처녀가 키우던 두꺼비를 데리고 시집을 간다. 시집간 동네에는 ‘지네당’이 있어 사람을 제물로 바치고 지네의...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승되는 남도잡가. 남도잡가란 조선 후기의 광대나 사당패 등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전라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창출된 민요를 지칭한다. 대개는 판소리를 부르는 전문 소리꾼이 병행해서 잡가를 부른다. 고종 때 전라남도 옥과(玉果)[현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에서 풍류하던 율객(律客) 신방초(申芳草)가 나와서 「화초사거리」를 만들어 부른 것이 잡가의...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에서 명당을 차지한 딸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딸이 차지한 명당」과 같은 유형의 명당 설화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딸이 차지한 명당」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28일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하분토마을 임창환[남, 76]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완주문화원, 2001] 247쪽에 「딸이 차지한...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전승되는 민요로 각종 동물들의 특징을 인간의 모습과 연결해 부르는 유희요. 「똥그랭 땅」은 각종 동물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인간의 모습이나 직업과 연계시켜 부르는 유희요의 일종이다. 특정 동물의 특성을 인간의 모습이나 직업과 절묘하게 비유하면서 익살과 웃음을 유발한다. 이런 종류의 노래는 주로 잔치나 놀이판에 흥을 돋우기 위해...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마치리에서 강감찬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강감찬(姜邯贊)[948~1031]은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거란의 수십만 대군을 맞아 귀주에서 섬멸시킨 귀주대첩을 이끈 장군이다. 강감찬의 유명세만큼 강감찬 관련 설화는 전국 각지에서 발견되는데, 보통 출생담, 성장할 때 일화, 벼슬한 이후 일화 등으로 분류되며, 대부분은 강감찬의 남다른 면모...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에서 김덕령에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김덕령[1567~1596]은 광주광역시 출신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이 되어 왜적에 항거했던 인물로 체구가 작지만 날래고 민첩하며 신용(神勇)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김덕령이 무고로 인해 감옥에서 죽자 김덕령에 대한 민중들의 안타까움이 더해져 김덕령의 용력에 대한 전설적인...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율소리에서 봉동생강의 유래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만덕산하 필유영초」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10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율소리 율소마을의 성명 미상의 주민[남, 86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17~418쪽에 「만덕산하 필유영초」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이서구(李書九)[1...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지역에서 부르는 말잇기 노래. 「나무가세」는 「말잇기노래」 또는 「말꼬리잇기노래」라고 한다. 유희요 가운데 말장난, 말놀이 과정에서 언어 자체가 놀이의 대상이기 때문에 언어유희요라고 부른다.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말놀이 노래를 통해서 말 배우기를 학습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언어유희요는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하위유형으로 분류한...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지역에서 부르는 말잇기 노래. 「나무가세」는 「말잇기노래」 또는 「말꼬리잇기노래」라고 한다. 유희요 가운데 말장난, 말놀이 과정에서 언어 자체가 놀이의 대상이기 때문에 언어유희요라고 부른다.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말놀이 노래를 통해서 말 배우기를 학습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언어유희요는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의 하위유형으로 분류한...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에서 명창 권삼득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판소리 창법 덜렁제를 만든 명창 권삼득의 고향은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구억리이다. 「매미혈의 명기를 타고난 권삼득」의 뒷이야기는 권삼득 부인의 유언으로 할아버지 권세진(權世進)의 묏자리를 정상 아래로 옮겨 더는 권삼득 집안에서는 명창이 태어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매미혈의 명기를...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배신한 친구를 용서한 머슴의 우정에 관한 이야기. 「머슴의 우정」은 1995년 8월 20일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의 이복순[여, 78세]으로부터 채록해, 1996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머슴의 우정」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함께 종살이하던 벙거지와 팔랭이는 어느 날 나무하러 간 동네에서 떡 세 개를 얻게...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지역에서 모심을 때 부르는 논농사 민요. 호남 지역의 논농사 민요 전승 양상을 보면 「모심는소리」보다 「논매는 소리」가 압도적이다. 김매기는 한여름 땡볕에서 서너 번에 걸쳐 수행하기 때문에 기간이 길고 힘든 노동과정이다. 그러나 김매기는 일정이나 동원인력 등을 미리 계획하고 대처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백여리에서 호환과 관련해서 전해오는 이야기. 호랑이에게 물려 죽는 것을 ‘호환(虎患)’이라고 하는데 이런 호환은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아도 상당히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민중들은 호랑이가 제일 무섭다는 인식이 강했다. 공자는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라고 하며 가혹한 정치를 가장 무서운 호환에 비교할 정도로 호환의...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부녀자들이 물방아를 찧으며 부른 가사 노동요. 물방아는 위에서 떨어지는 물의 힘을 이용해 공이를 오르내리게 해서 곡식을 찧는 방아이다. 방아 찧는 일은 잔손이 많이 가고 오랜 시간 일을 해야 하는 지루하고 고된 노동이었기 때문에 부녀자들은 「물방아야」와 같은 부류의 노래를 부르며 일의 고통을 달래고자 했다. 「물방아야」는 『한국구비문...
-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서 여럿이 논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전라북도 완주 지역의 논매는 소리로는 「방개소리」, 「사허소리」, 「우야소리」가 조사·보고되었다. 김익두와 유화수가 1982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에서 유유동[남, 66세], 이천희[남. 65세], 이충원[남. 74세] 외 여러 명으로부터 「방게소리」와 「쌈...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에 전하는 주인의 방망이를 들고 도망친 노비가 자신을 때리던 방망이에 제사지낸 이야기. 「방망이 놓고 지내는 제사」는 황인덕이 2001년 11월 10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의 조봉호[남, 78세]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66~467쪽에 「방망이 놓고 지내는 제사」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부녀자들이 밭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밭매기는 농촌 여성의 주요 노동 가운데 하나이다. 「밭매는소리」는 부녀자들이 밭에서 김을 매면서 불렀던 노동요이다. 같은 자세로 장시간 행해지는 밭 매기 노동의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가창되었다. 「밭매는소리」에는 생업으로서 밭일 이외에도 가사노동과 육아까지 전담하던 여성들의 고된 삶에서 우...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승되는 신세타령류의 민요. 「백발가」는 일반적으로 판소리 단가로 알려져 있다. 판소리 단가로 부르는 「백발가」에는 “백발이 섧고 섧다. 백발이 섧고 섧네. 나도 어제 청춘일러니 오날 백발 한심허다.”로 시작하는 것과, “고금 역대 헤아리니 공도난계 백발이요 못 면할쏜 죽음이라”로 시작하는 「공도라니」 계열이 있다. 그러나 전라북도 완주군...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이문리에 전하는 소씨들 묏자리때문에 지관이 벌에 쏘였다는 이야기. 「벌 명당과 발산 소씨」는 1996년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벌 명당(明堂)과 발산 소씨(鉢山蘇氏)」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또 황인덕이 2001년 8월 2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이문리 모고지마을의 이성근·박복규[남, 58세]로부터 채록해 『...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노동요. 베 짜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하던 노동으로, 「베틀가」는 오랜 시간 베틀에 혼자 앉아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베 짜는 일의 지루함을 달래고 자신을 위로하면서 부른 노래이다. 「베틀가」에는 가창자인 베 짜는 여인의 의식세계가 잘 반영되어 있다. 「베틀노래」 또는 「베짜는소리」라고도 한다....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노동요. 베 짜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하던 노동으로, 「베틀가」는 오랜 시간 베틀에 혼자 앉아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베 짜는 일의 지루함을 달래고 자신을 위로하면서 부른 노래이다. 「베틀가」에는 가창자인 베 짜는 여인의 의식세계가 잘 반영되어 있다. 「베틀노래」 또는 「베짜는소리」라고도 한다....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노동요. 베 짜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하던 노동으로, 「베틀가」는 오랜 시간 베틀에 혼자 앉아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베 짜는 일의 지루함을 달래고 자신을 위로하면서 부른 노래이다. 「베틀가」에는 가창자인 베 짜는 여인의 의식세계가 잘 반영되어 있다. 「베틀노래」 또는 「베짜는소리」라고도 한다....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에서 복 많은 백정의 딸과 박복한 정승의 아들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복많은 백정딸과 박복한 정승아들」은 황인덕이 2001년 9월 5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신봉마을 주민 성인영[남, 86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03~406쪽에 「복많은 백정딸과 박복한 정승아들」이라는 제...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봉동생강 캐는 아가씨를 소재로 해서 전해지는 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은 전국 제일의 생강 특산지로 유명하다. 「봉동생강캐는 아가씨」는 생강을 캐는 봉동의 아가씨를 소재로 해서 부른 노래이다. 「봉동생강캐는 아가씨」는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에서 이하원[남, 채록 당시 34세]에게 채록해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에 전해오는 서울 부잣집 맏딸의 자태를 노래한 부녀요. 「서울 장장자 맏딸아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조사단이 1980년 1월 31일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당티마을 백기순[여. 81세]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1981년에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478~479쪽에 「서울 장장자 맏...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사설시조의 하나로 소년들에게 공부와 효도를 권장하는 민요.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에서는 당시 조사한 녹음테이프를 파일로 변환하여 음원을 서비스하고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상학마을에서 조사한 민요도 대부분 음원이 확인되고 있는데, 「권학가」는 들을 수 없다. 「권학가」는 『한국구비문학대계』5-...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조혼 풍습을 노래한 일종의 유희요. 「팔랑팔랑 홍갑사댕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최래옥, 조옥례 등에게서 총 34편의 민요를 조사했다. 「팔랑팔랑 홍갑사댕기」 가창자는 조...
-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서 여럿이 논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전라북도 완주 지역의 논매는 소리로는 「방개소리」, 「사허소리」, 「우야소리」가 조사·보고되었다. 김익두와 유화수가 1982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에서 유유동[남, 66세], 이천희[남. 65세], 이충원[남. 74세] 외 여러 명으로부터 「방게소리」와 「쌈...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삼리에서 회안대군의 묏자리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산맥을 뜬 회안대군 묘」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31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삼리 용암마을 주민 최준식[남, 78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40~341쪽에 「산맥을 뜬 회안대군 묘」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회안대군(懷安...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 전하는 전라감사였던 이서구가 여성의 개가를 금지시키게 된 이야기. 「살인사건 밝혀낸 이서구」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7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구암마을의 오용근[남, 71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103~105쪽에 「살인사건 밝혀낸 이서구」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전라감사...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지역에서 모심을 때 부르는 논농사 민요. 호남 지역의 논농사 민요 전승 양상을 보면 「모심는소리」보다 「논매는 소리」가 압도적이다. 김매기는 한여름 땡볕에서 서너 번에 걸쳐 수행하기 때문에 기간이 길고 힘든 노동과정이다. 그러나 김매기는 일정이나 동원인력 등을 미리 계획하고 대처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판소리 「적벽가」 중 한 대목. 「상산 조자룡」은 「판소리 적벽대전 중 조자룡의 말 대목 창(唱)」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최래옥, 한흥수, 이강철 등 한국구비문학대계 조사단은 1980년 1월 29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상학마을 서인수[남, 83세]에게 채록했다. 「상산 조자룡」은 판소리 「적벽가」 중 적벽...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운곡리에서 장례 때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전통 장례에서 상여를 메고 이동하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장례의 세부 절차에 따라 소리가 구분된 경우가 많다. 출상 전날 빈 상여를 메고 부르는 소리, 출상을 준비하며 상여를 어르는 소리, 상여가 집에서 떠나갈 때 상여를 어깨에 메면서 또는 장지에서 상여를 내리면서 부르는 소리, 평지에서 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에서 새 혹은 전봉준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민요. 고순자가 부른 노래 제목은 「파랑새요」이지만, 이 노래는 통속요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통용하는 노래 제목인 「새야새야 파랑새야」로 변경한다. 「새야새야 파랑새야」에 관한 해석도 다양하다. 동학농민운동[일명 동학농민혁명]의 실패와 관련된 참요(讖謠)[미래 예언적이고 풍자적인 내용을...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에서 새 혹은 전봉준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민요. 고순자가 부른 노래 제목은 「파랑새요」이지만, 이 노래는 통속요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통용하는 노래 제목인 「새야새야 파랑새야」로 변경한다. 「새야새야 파랑새야」에 관한 해석도 다양하다. 동학농민운동[일명 동학농민혁명]의 실패와 관련된 참요(讖謠)[미래 예언적이고 풍자적인 내용을...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에서 새 혹은 전봉준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민요. 고순자가 부른 노래 제목은 「파랑새요」이지만, 이 노래는 통속요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통용하는 노래 제목인 「새야새야 파랑새야」로 변경한다. 「새야새야 파랑새야」에 관한 해석도 다양하다. 동학농민운동[일명 동학농민혁명]의 실패와 관련된 참요(讖謠)[미래 예언적이고 풍자적인 내용을...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전승되는 남도잡가류에 해당하는 민요. 「새타령」는 남도잡가류에 해당하는 민요이다. 잡가는 상당한 훈련과정을 거친 전문가들이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따라서 향토성보다 통속성이 강하고,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노래지만 직접 부르기는 쉽지 않다. 사설도 한문투가 많아 구비전승 시절에는 오류가 상당하다.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면 노래가 더 수식...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일임마을에서 진묵대사의 높은 도술과 중태기[버들치]의 유래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생사를 임의로 한 진묵대사-중태기의 유래」는 평소 진묵대사를 제거하고 싶어하던 김봉곡이 봄에 연회를 열었는데 탁발을 마친 진묵대사가 그곳을 지나가자 불러서 술과 생선을 먹여 놓고 봉변을 당하게 하려 했지만 진묵대사가 먹은 물고기를 똥을 누어...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에 전해오는 서울 부잣집 맏딸의 자태를 노래한 부녀요. 「서울 장장자 맏딸아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조사단이 1980년 1월 31일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당티마을 백기순[여. 81세]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1981년에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478~479쪽에 「서울 장장자 맏...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에 전하는 효자 나무꾼의 이야기.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는 1980년 2월 1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의 백옥련화[여]로부터 채록해,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 「나뭇군과 선녀」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어느 동네에 마음씨 좋은 나무꾼이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었다. 이 총각은 자신보다 어머니를 더 위하는 효자였다. 다...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이문리에 전하는 소씨들 묏자리때문에 지관이 벌에 쏘였다는 이야기. 「벌 명당과 발산 소씨」는 1996년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벌 명당(明堂)과 발산 소씨(鉢山蘇氏)」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또 황인덕이 2001년 8월 2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이문리 모고지마을의 이성근·박복규[남, 58세]로부터 채록해 『...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황운리에서 송광사 창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송광사를 지은 외팔이 목수」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28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황운리 상망표마을 주민 김동신[남, 67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81~282쪽에 「송광사를 지은 외팔이 목수」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2016년에 작성...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에 있는 삼례여중 축구부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슈팅걸스」는 새바엔터테인먼트와 아이언 스튜디오에서 제작했으며, 각본은 배효민, 제작은 리주영과 이준호가 참여했다. 2017년 제21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패밀리 존에 공식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2018년 9월 개봉하였다. 「슈팅걸스」는 배효민 감독의 첫 번째 작품으...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에 전하는 시아버지의 생신을 챙겨드리기 위해 며느리가 머리카락을 자른 것에 관한 이야기. 「승가승무노인곡」은 황인덕이 2001년 11월 10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의 조봉호[남, 78세]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80~483쪽에 「승가승무노인곡(僧歌僧舞老人哭)」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에 전하는 시어머니가 미워 죽이려다가 도리어 사이가 좋아진 며느리의 이야기. 「시어머니를 죽이려면」은 황인덕이 2001년 11월 10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의 조봉호[남, 78세]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 456~459쪽에 「시어머니를 죽이려면」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에 사는...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시집살이 서사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 주민 진선순[여, 62세]이 부른 「시집살이노래」는 1991년 1월 18일 채록되어 1995년 발간된 문화방송의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CD와 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진선순의 친정은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으로, 가창자는 「시집살이노래」를 자신의 친정어머...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시집살이 노래로 진주낭군 계열의 서사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 주민 고순녀[여, 75세]가 부른 「시집살이노래」는 1991년 1월 17일 채록되어 1995년 발간된 문화방송의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CD와 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녹음 현장에는 고순녀의 여동생 고순자[여, 70세]도 함께 있었...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시집살이 노래로 진주낭군 계열의 서사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 주민 고순녀[여, 75세]가 부른 「시집살이노래」는 1991년 1월 17일 채록되어 1995년 발간된 문화방송의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CD와 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녹음 현장에는 고순녀의 여동생 고순자[여, 70세]도 함께 있었...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시집살이 서사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 주민 진선순[여, 62세]이 부른 「시집살이노래」는 1991년 1월 18일 채록되어 1995년 발간된 문화방송의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CD와 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진선순의 친정은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으로, 가창자는 「시집살이노래」를 자신의 친정어머...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부녀자들이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푸념 조로 부르는 가창 유희요. 「신세타령」은 가창자가 자신이 느끼는 답답함이나 삶에 대한 회한과 한탄을 푸념 조로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신세타령」의 화자는 성별과 처지에 따라 한탄하는 내용이 다른데, 신세타령하는 화자로는 시집·장가를 못 간 처녀와 총각, 늙어가는 노인, 남의 집 일만 하는 머...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쌀이 나오는 바위에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쌀 나오는 바위」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8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청명마을 임봉환[남, 75]에게 채록하여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154쪽에 「쌀 나오는 바위」로 수록되었다. 완주군청 누리집에서도 「쌀 나온 바위」[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상학] 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쌀이 나오는 바위에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쌀 나오는 바위」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8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청명마을 임봉환[남, 75]에게 채록하여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154쪽에 「쌀 나오는 바위」로 수록되었다. 완주군청 누리집에서도 「쌀 나온 바위」[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상학] 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쌀이 나오는 바위에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쌀 나오는 바위」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8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청명마을 임봉환[남, 75]에게 채록하여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154쪽에 「쌀 나오는 바위」로 수록되었다. 완주군청 누리집에서도 「쌀 나온 바위」[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상학] 이...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에서 집을 새로 지어 집들이할 때 액을 몰아내자는 뜻으로 부르는 의식요. 「액맥이타령」은 정초에 풍물패가 각 가정을 방문해 제액 초복을 빌어주는 지신밟기를 할 때나, 새로 집을 지은 곳에 가서 낙성연을 할 때 좋지 않은 기운을 몰아내고 집터를 수호하고자 부르는 의식요이다. 지역에 따라서 「액맥이타령」만 부르기도 하고 「고사소리」의 한 부분...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장가가는 영감을 소재로 해서 부르던 유희요. 완주군의 「영감노래」는 환갑 넘은 영감이 어린 신부에게 장가가는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화자인 영감이 장가를 가면서 석류꽃도 봉숭아도 꽃이 피고 열매를 맺듯 자신도 자식을 바라고 어린 신부에게 장가를 가는 것이니 비웃지 말라고 한다. 첫날밤에 벽을 보고 돌아앉은 열다섯 살의 어...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신지리에서 옆구리로 아기장수를 낳은 할머니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옆구리로 아기장수를 낳은 할머니」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1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신지리 용복마을 주민 박장령[남, 68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45~346쪽에 「옆구리로 아기장수를 낳은 할머니」라는 제목으로 수록...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화월리에서 고성산성을 쌓은 오누이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오뉘가 쌓은 고성산성」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화월리 노인정에서 마을 주민 이종춘[남, 72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24~425쪽에 「오뉘가 쌓은 고성산성」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한 어머니가 오...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전해지는 누이동생이 무정한 오빠를 원망하는 내용의 유희요. 시누이와 올케 사이인 두 여인이 강물에 빠졌는데 오빠가 물에 먼저 빠진 여동생은 꺼냈다가 다시 물에 넣고 나중에 빠진 부인만 구하자, 여동생이 무정한 오빠를 원망한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시누이와 올케가 물에 빠졌다는 모티브는 영남 지방과 전라북도 산간지방의 「모노래」에서 흔히 볼 수 있...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에 있는 옷바위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옷바위 전설」은 옷바위의 유래담이면서 동시에 ‘아기 장수’ 설화의 일반 유형을 보여준다. 전라북도 완주군의 다른 지역에서도 용마골이라는 지역 유래담과 함께 전승되는 아기장수 이야기가 있다. 「옷바위 전설」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10일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의암리 계월마...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화암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괘불도. 괘불은 의식의 거행을 위해 전각 외부에 걸리는 대형 불화이다. 「완주 화암사 괘불도」는 지권인(智拳印)[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맺은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중간에 크게 배치하고, 상단에 가섭과 아난 등 4존의 나한과 2존의 천왕상,...
-
전라북도 완주군의 군가. 「완주군민의 노래」는 이기반이 작사하고 김성지가 작곡했으며, 완주군의 자연환경과 정서를 활기 있게 표현한 성악곡이다. 「완주군민의 노래」는 1997년 개원한 열린 음악 교실의 졸업생을 중심으로 꾸려진 여성합창단원이 음악회를 개최하며 노래를 보급했다. 2015년에는 완주군 실버밴드인 이팔청춘 봉사단이 완주 지역 행사, 축제에서...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 전하는 운장산 용마골 아기장수의 이야기. 「용마골 호랑이」는 1996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용마골 호랑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운장산 영봉을 마주하는 한 마을에 사는 가난한 부부가 늦게 아들을 얻게 된다. 아들은 비범한 모습으로 나면서부터 인물과 장부의 기개를 보인다. 어려운 살림에 아...
-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서 여럿이 논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전라북도 완주 지역의 논매는 소리로는 「방개소리」, 「사허소리」, 「우야소리」가 조사·보고되었다. 김익두와 유화수가 1982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에서 유유동[남, 66세], 이천희[남. 65세], 이충원[남. 74세] 외 여러 명으로부터 「방게소리」와 「쌈...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운곡리에서 장례 때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전통 장례에서 상여를 메고 이동하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장례의 세부 절차에 따라 소리가 구분된 경우가 많다. 출상 전날 빈 상여를 메고 부르는 소리, 출상을 준비하며 상여를 어르는 소리, 상여가 집에서 떠나갈 때 상여를 어깨에 메면서 또는 장지에서 상여를 내리면서 부르는 소리, 평지에서 운...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해 전해 오는 부녀요.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승되는 「진주낭군」은 가난한 시집에서 시집살이 하던 아내가 진주 남강에 빨래를 하러 갔다 돌아와 보니 남편이 첩을 집에 데려와 수작하는 모습을 보고 목을 매어 죽자 남편이 뒤늦게 후회한다는 내용이다. “울도담도 없는집에”라는 사설로 시작되며,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진주 남강...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해 전해 오는 부녀요.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승되는 「진주낭군」은 가난한 시집에서 시집살이 하던 아내가 진주 남강에 빨래를 하러 갔다 돌아와 보니 남편이 첩을 집에 데려와 수작하는 모습을 보고 목을 매어 죽자 남편이 뒤늦게 후회한다는 내용이다. “울도담도 없는집에”라는 사설로 시작되며,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진주 남강...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있는 위봉사 보광명전의 석가삼존불 뒤에 장엄된 후불도. 석가, 약사, 아미타로 구성된 삼세불도는 조선 후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한 불화의 종류이다. 삼세불도는 대체로 중앙에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영산회상도를, 그 좌측에 약사불의 그림을, 그 반대편에 아미타불의 그림을 배치하는 것이 통례이다. 연등불, 석가불, 미륵불 등...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운장산에 살던 효자 김만수가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호랑이로 둔갑한 이야기. 「위봉사와 효자범」은 1996년 완주군에서 간행한 『완주군지』에 「위봉사와 효자범」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운장산 기슭에 살던 효자 김만수에게는 고민이 있다. 김만수의 노모가 고기반찬이 없으면 밥을 먹지 않고 투정까지 하는 것이었다. 어느 날 위...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에 전하는 독립운동을 주도한 의병대장 유치복과 그를 도와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이야기. 유치복(柳致福)[1866~1910]은 조선 말기 의병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출신이다. 유치복은 1907년 삼남의병 제2지대장 유지명 소속 부대의 총책으로 일본군과 싸워 많은 전과를 올렸다. 1910년 한일합병 이후 일본군에게 총살당해...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에 전해오는 서울 부잣집 맏딸의 자태를 노래한 부녀요. 「서울 장장자 맏딸아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조사단이 1980년 1월 31일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당티마을 백기순[여. 81세]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1981년에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478~479쪽에 「서울 장장자 맏...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 앵곡마을에서 이서구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이서구(李書九)[1754~1825]는 조선 후기 뛰어난 실학자로, 홍대용과 박지원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이덕무·유득공·박제가 등의 실학파 문인들과 사귀었다. 이서구가 전라감사로 부임해 오면서 생겨난 다양한 설화들이 전주시 및 전라도 여러 지역에서 구비전승되고 있다. 전라북도 완주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에서 도사 우사출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서구보다 나은 도술꾼 우사출」은 황인덕이 2001년 9월 2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일임마을에서 주민 이우인[남, 72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05~308쪽에 「이서구보다 나은 도술꾼 우사출」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조선 후기...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이성계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이성계 인물 설화는 전승되는 계층과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다른 층위로 전개된다. 즉, 뛰어난 능력을 지닌 위대한 인물로 전승되기도 하고, 신하로서 고려의 임금을 배반한 인물로 그려져서 부정적인 인물로 전승되기도 한다. 아울러 이성계 주변의 인물이나 사건도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이성계 관련...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구암마을에서 이성계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이성계 인물 설화는 전승되는 계층과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다른 층위로 전개된다. 즉, 뛰어난 능력을 지닌 위대한 인물로 전승되기도 하고, 신하로서 고려의 임금을 배반한 인물로 그려져 부정적인 인물로 전승되기도 한다. 아울러 이성계 주변의 인물이나 사건도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이성계...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아기를 재울 때 부르는 노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 주민 진선순[여, 62세]이 부른 「자장가」는 1991년 1월 17일 채록되어 1995년 발간된 문화방송의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CD와 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진선순의 친정은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으로 택호는 ‘새택골댁’이었다. 진선순은 마을에서 외...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에서 지렁이국을 먹고 눈 뜬 할머니에 관해 전해오는 이야기. 부모를 잘 봉양하는 효행담은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지렁이’를 소재로 한 효행담은 보통 효성스러운 아들이나 며느리가 먹을 것이 없어서 지렁이국으로 홀어머니를 모셨는데, 이것이 영양을 보충하는 계기가 되어 눈을 뜨게 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렁이로 효도한 며느리」[...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에서 지렁이국을 먹고 눈 뜬 할머니에 관해 전해오는 이야기. 부모를 잘 봉양하는 효행담은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지렁이’를 소재로 한 효행담은 보통 효성스러운 아들이나 며느리가 먹을 것이 없어서 지렁이국으로 홀어머니를 모셨는데, 이것이 영양을 보충하는 계기가 되어 눈을 뜨게 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렁이로 효도한 며느리」[...
-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하는 사위가 장모님의 은혜를 못다 갚는다는 마음을 표현한 유희요. 「장모타령」은 사위가 장모의 은혜를 갚을 길 없다는 표현을, 신체 부위별로 나열하면서 해학적이고 과장된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다. 예컨대 이내 “창시를 빼어서 장모네 빨랫줄을 매어라고 주어도 장모 공로를 못다 갚는다”는 식이다. 그런데 그 내용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어디서 많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판소리 「적벽가」 중 한 대목. 「상산 조자룡」은 「판소리 적벽대전 중 조자룡의 말 대목 창(唱)」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최래옥, 한흥수, 이강철 등 한국구비문학대계 조사단은 1980년 1월 29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상학마을 서인수[남, 83세]에게 채록했다. 「상산 조자룡」은 판소리 「적벽가」 중 적벽...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전봉준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전봉준[1855~1895]은 조선 말기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인데 몸이 왜소하였기 때문에 흔히 ‘녹두(綠豆)’라 불렸고, 뒷날 ‘녹두장군’이란 별명이 생겼다. 전봉준은 1890년(고종 27) 무렵 35세 전후에 동학에 입교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인물담들은 보통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역민에게...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에서 이서구의 전생과 환생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생 시신을 손수 장사지낸 이서구」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1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 신기마을 주민 안상렬[남, 72세]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72~373쪽에 「전생 시신을 손수 장사지낸 이서구」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옛...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신리에 정여립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정여립(鄭汝立)[1546~1589]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사상가로 1589년에 일어난 기축옥사(己丑獄事)로 죽은 인물이다. 정여립 관련 설화들이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데, 아마도 정여립의 생가터가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인 것과 연관이 있는 듯하다.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에...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내주마을에서 시어머니의 구박을 받다 죽어 새가 된 며느리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죽어서 떡국새가 된 며느리」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28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내주마을 주민 양쌍남[여, 66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67~269쪽에 「죽어서 떡국새가 된 며느리」라는...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에서 지렁이국을 먹고 눈 뜬 할머니에 관해 전해오는 이야기. 부모를 잘 봉양하는 효행담은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지렁이’를 소재로 한 효행담은 보통 효성스러운 아들이나 며느리가 먹을 것이 없어서 지렁이국으로 홀어머니를 모셨는데, 이것이 영양을 보충하는 계기가 되어 눈을 뜨게 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렁이로 효도한 며느리」[...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에서 지렁이국을 먹고 눈 뜬 할머니에 관해 전해오는 이야기. 부모를 잘 봉양하는 효행담은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지렁이’를 소재로 한 효행담은 보통 효성스러운 아들이나 며느리가 먹을 것이 없어서 지렁이국으로 홀어머니를 모셨는데, 이것이 영양을 보충하는 계기가 되어 눈을 뜨게 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렁이로 효도한 며느리」[...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에 전하는 진고비가 자린고비에게 부자되는 방법을 배워 잘 살게 된 이야기. 「진고비와 자린고비」는 황인덕이 2001년 11월 10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의 조봉호[남, 78세]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83~486쪽에 「진고비와 자린고비」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진고비와 자린고비는 친구사...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에서 진묵대사의 죽음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진묵대사가 죽은 이유」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2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일임마을 주민 이우인[남, 72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23~328쪽에 「진묵대사가 죽은 이유」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진묵대사는 생사를...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일임마을에서 김봉곡과 진묵대사의 바둑 내기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진묵대사와 김봉곡의 목숨을 건 바둑두기」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23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일임마을 주민 이우인[남, 72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312~314쪽에 「진묵대사와 김봉곡의 목숨을 건 바둑...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해 전해 오는 부녀요.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승되는 「진주낭군」은 가난한 시집에서 시집살이 하던 아내가 진주 남강에 빨래를 하러 갔다 돌아와 보니 남편이 첩을 집에 데려와 수작하는 모습을 보고 목을 매어 죽자 남편이 뒤늦게 후회한다는 내용이다. “울도담도 없는집에”라는 사설로 시작되며,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진주 남강...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해 전해 오는 부녀요.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승되는 「진주낭군」은 가난한 시집에서 시집살이 하던 아내가 진주 남강에 빨래를 하러 갔다 돌아와 보니 남편이 첩을 집에 데려와 수작하는 모습을 보고 목을 매어 죽자 남편이 뒤늦게 후회한다는 내용이다. “울도담도 없는집에”라는 사설로 시작되며,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진주 남강...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해 전해 오는 부녀요.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승되는 「진주낭군」은 가난한 시집에서 시집살이 하던 아내가 진주 남강에 빨래를 하러 갔다 돌아와 보니 남편이 첩을 집에 데려와 수작하는 모습을 보고 목을 매어 죽자 남편이 뒤늦게 후회한다는 내용이다. “울도담도 없는집에”라는 사설로 시작되며,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진주 남강...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기생의 지조와 절개를 소재로 하여 전하는 유희요. 「기생노래」는 화자가 몸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지조와 절개는 굳건해서 송죽[소나무와 대나무]처럼 변치 않음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여성들이 잔치나 모임에서 부르던 가창유희요 가운데 하나이다. “파릇파릇 봄배추는 봄비오기만 기다리고 / 옥에갇힌 춘향이는 이도령오기만 기다린다 / 모지도다 독하도다...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에서 징거미를 소재로 해서 부르는 가창 유희요. 「징검이타령」의 징검이[징거미 또는 징금이]가 ‘징거미새우’라고 하는 설도 있으나 어떤 동물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전라북도 완주군의 「징검이타령」은 빚쟁이한테서 빚 독촉을 받은 징검이가 돌아오는 장날에 몸 일부를 팔아서라도 돈을 꼭 갚아주겠다고 다짐하는 내용이다. 아이들과 여성들이...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운곡리에서 장례 때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전통 장례에서 상여를 메고 이동하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장례의 세부 절차에 따라 소리가 구분된 경우가 많다. 출상 전날 빈 상여를 메고 부르는 소리, 출상을 준비하며 상여를 어르는 소리, 상여가 집에서 떠나갈 때 상여를 어깨에 메면서 또는 장지에서 상여를 내리면서 부르는 소리, 평지에서 운...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내려오는 첩을 둔 남편을 원망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민요.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에서는 당시 조사한 녹음테이프를 파일로 변환하여 음원을 서비스하고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에서 조사한 민요도 대부분 음원이 확인되고 있는데, 「첩의 방에 가시려거든」도 들을 수 있다. 「첩의 방에 가시려거든」는 『한국구비...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처녀와 총각의 수작을 소재로 해서 전해지는 가창 유희요. 「총각아 총각아」는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서 음원을 제공하고 있다. 「총각아 총각아」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679~680쪽에 실려 있다. 최래옥, 권선옥, 강현모 등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공기마을편백나무숲 일대에서 촬영한 영화. 「최종병기 활」은 「극락도 살인사건」과 「핸드폰」을 연출한 김한민 감독의 세 번째 작품으로,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중 청나라군에 인질로 끌려가는 여동생을 구하려는 조선 최고의 신궁이 청나라군을 상대로 사투를 벌이는 과정을 담은 액션 사극이다. 「최종병기 활」은 다세포클...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채집한 시집살이 고충을 담은 서사민요. 전통사회에서 여성은 가사와 육아는 물론 고된 노동에 내몰렸다. 게다가 시집식구들의 학대와 모함에도 빈번하게 노출된다. 그들의 고된 삶의 일단이 「시집살이 노래」라는 이름의 방대한 서사민요군을 내놓았다. 「춘아 춘아 메네춘아」는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 수록된 민요이다. 김익...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기생의 지조와 절개를 소재로 하여 전하는 유희요. 「기생노래」는 화자가 몸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지조와 절개는 굳건해서 송죽[소나무와 대나무]처럼 변치 않음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여성들이 잔치나 모임에서 부르던 가창유희요 가운데 하나이다. “파릇파릇 봄배추는 봄비오기만 기다리고 / 옥에갇힌 춘향이는 이도령오기만 기다린다 / 모지도다 독하도다...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에 전하는 콩쥐팥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콩쥐팥쥐 이야기」는 2015년 11월 20일 무형문화유산온라인지식사전 누리집에 「콩쥐팥쥐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최초 입력되었다. 조선 중기 전라도 전주부 서문 밖 삼십 리[12㎞]에 살던 최만춘이라는 퇴직 관리와 아내 조씨는 뒤늦게 딸 콩쥐를 얻는다. 그러나 콩쥐가 태어난 지 백일 만...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평촌리에서 이성계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바위 이야기. 이성계 인물 설화는 전승되는 계층과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다른 층위로 전개된다. 이성계의 신성성이나 용맹, 왕이 될 수밖에 없는 당위성 등을 보여주거나 이성계의 신성성이나 용맹을 빌려 지역의 신성성을 돋보이게 하려는 설화들이 많다. 한편, 신하로서 고려의 임금을 배반한 인물로 그려져서 부...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에서 새 혹은 전봉준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민요. 고순자가 부른 노래 제목은 「파랑새요」이지만, 이 노래는 통속요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통용하는 노래 제목인 「새야새야 파랑새야」로 변경한다. 「새야새야 파랑새야」에 관한 해석도 다양하다. 동학농민운동[일명 동학농민혁명]의 실패와 관련된 참요(讖謠)[미래 예언적이고 풍자적인 내용을...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전승되는 판소리 「적벽가」 중 한 대목. 「상산 조자룡」은 「판소리 적벽대전 중 조자룡의 말 대목 창(唱)」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최래옥, 한흥수, 이강철 등 한국구비문학대계 조사단은 1980년 1월 29일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상학마을 서인수[남, 83세]에게 채록했다. 「상산 조자룡」은 판소리 「적벽가」 중 적벽...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조혼 풍습을 노래한 일종의 유희요. 「팔랑팔랑 홍갑사댕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최래옥, 조옥례 등에게서 총 34편의 민요를 조사했다. 「팔랑팔랑 홍갑사댕기」 가창자는 조...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조혼 풍습을 노래한 일종의 유희요. 「팔랑팔랑 홍갑사댕기」는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에 수록되어 있다. 한국구비문학대계조사단이 1980년 1월 19일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최래옥, 조옥례 등에게서 총 34편의 민요를 조사했다. 「팔랑팔랑 홍갑사댕기」 가창자는 조...
-
전라북도 완주군에 전해지는 풍년의 기쁨을 노래한 민요. 전라북도 완주군의 「풍년가」는 구성과 노랫말이 경기도 통속민요 「풍년가」와 유사해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나, 악곡 상으로는 서로 다른 노래로 보인다. 경기민요 「풍년가」의 후렴은 “지화자 좋다 얼씨구나 좋구 좋다”로 시작해서 명년 어느 절기에 그 절기의 놀이를 하자는 내용인데, 전라북도 완주군 「풍...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에서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하성부지가 잡은 명당」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10일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 유상마을 이석준[남, 82세]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25~226쪽에 「‘하성부지’가 잡은 명당」으로 수록했다. 동래정씨의 한 양반이 장가를 갔는데 첫날밤 저녁...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개화기에 부른 대표적인 창가. 20세기가 시작되는 1900년 직후는 개화기이자 계몽의 시대였다. 계몽의 주제는 실력양성이었다. 이 시기에 실력양성을 고취할 목적으로 창가가 대대적으로 보급되었다. 창가라는 명칭은 개항과 함께 쏟아진 서양의 악곡에 맞추어 작곡된 노래를 뜻한다. 일본에서 사용하던 용어인데 1896년 신교육기관인 배재학당에서 창가라는...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에 전하는 학이 죽을 뻔한 아기를 보호해서 살려준 이야기. 「학이 살려준 아기」는 황인덕이 2001년 8월 7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교동마을의 김순희[여, 70세]가 할머니께 들은 이야기를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142~143쪽에 「학이 살려준 아기」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한 양반이 부인...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에서 내려오는 첩을 둔 남편을 원망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민요.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에서는 당시 조사한 녹음테이프를 파일로 변환하여 음원을 서비스하고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에서 조사한 민요도 대부분 음원이 확인되고 있는데, 「첩의 방에 가시려거든」도 들을 수 있다. 「첩의 방에 가시려거든」는 『한국구비...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서 전해오는 호랑이로 둔갑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 「효자 호랑이 김용담」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26일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마을 권덕만[남, 70대 중반]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35쪽에 「효자호랑이 김용담」으로 수록되어 있다. 무형문화유산온라인지식사전 누리집에서는 「김용담 호랑...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에서 홍술해 며느리의 탄생 유래에 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홍술해 며느리의 탄생 유래」는 황인덕이 2001년 9월 5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신봉마을 주민 성인영[남, 86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09~410쪽에 「홍술해 며느리의 탄생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에 전하는 화살보다 빨랐던 말에 관한 전설. 「화살과 말의 경합」은 황인덕이 2001년 11월 10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의 유재춘[남, 69세]으로부터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470~471쪽에 「화살과 말의 경합」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백도리 성산은 성(...
-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에 위치한 완주 화암사 극락전에 있는 불화. 완주 화암사 극락전은 서방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주불로 하는 전각이다. 종도리[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에서 발견된 상량문에 따라 1605년(선조 38년)에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완주 화암사 극락전 내부에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의 불화가 6점 봉안...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서 환갑잔치 때 당사자가 자손과 하객들에게 부르는 민요. 「환갑노래」는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 수록되어 있다. 1982년 2월에 김익두와 유화수가 완주군 봉동읍 율소리에서 성명 불상의 70세 여성에게 채록했다. 「환갑노래」는 환갑[회갑]을 맞은 당사자가 잔치에 참여한 자손들, 동네 친지들께 감사와 덕담의...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서 환갑잔치 때 당사자가 자손과 하객들에게 부르는 민요. 「환갑노래」는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 수록되어 있다. 1982년 2월에 김익두와 유화수가 완주군 봉동읍 율소리에서 성명 불상의 70세 여성에게 채록했다. 「환갑노래」는 환갑[회갑]을 맞은 당사자가 잔치에 참여한 자손들, 동네 친지들께 감사와 덕담의...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서 전해오는 호랑이로 둔갑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 「효자 호랑이 김용담」은 황인덕이 2001년 8월 26일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마을 권덕만[남, 70대 중반]에게 채록해,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235쪽에 「효자호랑이 김용담」으로 수록되어 있다. 무형문화유산온라인지식사전 누리집에서는 「김용담 호랑...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전승되는 남도잡가류 민요. 「흥타령」은 남도잡가의 하나인데, 남도잡가는 연곡 형식의 레퍼토리가 구성되어 있다. 「흥타령」은 「보렴」, 「화초사거리」를 비롯해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새타령」, 「성주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단에는 진양조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이 많다. 잡가란 조선...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서 전승되는 남도잡가류 민요. 「흥타령」은 남도잡가의 하나인데, 남도잡가는 연곡 형식의 레퍼토리가 구성되어 있다. 「흥타령」은 「보렴」, 「화초사거리」를 비롯해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새타령」, 「성주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단에는 진양조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이 많다. 잡가란 조선...
-
1872년(고종 9)에 제작된 군현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전라도 「고산현(高山縣)」 지도. 『1872년 군현지도』는 고종 9년(1872)에 국가 지도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1872년 3월부터 6월까지 전국의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도(道) 별로 수합하였는데, 그 수는 모두 461점으로 경기도 40점, 충청도 52점, 전라도 84점,...
-
1872년(고종 9)에 제작된 군현지도(郡縣地圖)에 수록되어 있는 전라도 「전주부(全州府)」 지도. 『1872년 군현지도』는 고종 9년(1872)에 국가 지도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1872년 3월부터 6월까지 전국의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도(道) 별로 수합하였는데, 그 수는 모두 461점으로 경기도 40점, 충청도 52점, 전라...
-
전라북도 완주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 말기 학자인 전우의 시문집. 조선 말기의 학자인 전우의 시문집으로, 1927년 손녀사위인 이인구(李仁榘)가 장손(長孫)인 전일효(田鎰孝) 등과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전우(田愚)[1841~1922]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 등이다. 조선 말기의 학자로, 전재(全...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화월리 출신의 근대 한학자 심진원의 시문집. 근대 한학자인 심진원의 시문집으로, 1992년 장남 심의태(沈宜台)가 3권으로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심진원(沈鎭遠)[1909~1975]의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자는 치정(致靜), 호는 경운(鏡雲)이다. 근대의 한학자로, 간재 전우의 제자인 오병훈(吳秉勳)·김정만(金正萬)·전경표(全景杓)를...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현[현 고산면]의 조선 후기 읍지. 『고산읍지(高山邑誌)』[奎一七三九九]는 비교적 적은 분량의 읍지이기는 하나, 여러 항목에서 18세기 후반 이후 고산현의 모습을 전해 준다. 다른 시기의 고산읍지들과 비교해 사회경제적 측면의 정보는 부족하지만, 그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산 지역 읍지 편찬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
1871년(고종 8) 이후에 편찬된 전라북도 완주군을 포함하는 전라도 고산현 읍지. 『고산읍지』[想白古 915.14-G69]는 전라도 고산현에서 1871년(고종 8) 이후 편찬하였다. 『고산읍지』[想白古 915.14-G69]는 1책 23장 50면의 필사본으로 크기는 세로 29.4㎝, 가로 22.2㎝ 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 거주하던 유림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읍지. 『고산지』는 옛 고산현, 즉 현재의 고산면과 화산면, 비봉면, 동상면, 운주면, 경천면의 6개 면을 아우르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한 책이다. 고산현은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산군[고산면, 비봉면, 화산면, 경천면, 운주면, 동상면]이 전주군에 통합되었고, 1935년...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인 이병은의 시문집. 이병은(李炳殷)[1877~1960]은 이봉덕(李鳳德)과 밀양박씨의 둘째 아들로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자승(子乘), 호는 고재(顧齋)이며,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1900년 간재 전우의 문하에 나아갔으며, 1902년 전라도관찰사 이성렬(李聖烈)에게서 참봉 추천을 받았다. 1915년부터...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출신인 임병지의 시문집. 임병지(林炳志)[1874~1944]의 자는 사상(士尙), 호는 과헌(果軒)이며, 본관은 평택(平澤)이다. 임기영(林基營)과 창원(昌原) 구기환(具基煥)의 딸 사이에서 1874년(고종 11) 둘째 아들로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종리에서 태어났다. 약재(約齋) 송병화(宋炳華), 간재(艮齋) 전우(田愚)에게 나아가 기...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있는 대승사(大勝祠)에 배향된 홍이장의 시문집. 홍이장(洪以將)[1673~1727]의 자는 도운(道運), 호는 광반와(廣胖窩),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부친은 진사 중연(仲衍)이며, 모친은 전주최씨 영량(英亮)의 딸이다. 문장에 뛰어났으며, 효행이 극진했고, 형제간에 우애가 깊었다. 한수재 권상하(權尙夏)에게 나아가 수학했으며, 남당...
-
조선 후기에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되어 있는 고산현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19세기 초에 제작된 회화식 전국 군현 지도로 각 도별 지도 및 군현별 지도, 군사 요충지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광여도(廣輿圖)』「고산현(高山縣)」은 현재 전라북도 완주군의 고산면, 동상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경천면을 나타낸 지도로 관청 건물과 읍면, 주요 산천과 관련 정보가...
-
전라북도 완주군이 포함되어 있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광여도(廣輿圖)』의 전주목(全州牧) 지도. 『광여도』는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회화식 전국 군현지도로 각 도별 지도 및 군현별 지도, 군사 요충지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광여도』「전주목」은 현재 전라북도 전주시와 완주군 삼례읍, 봉동읍, 용진읍, 소양면, 상관면, 구이면, 이서면과 익산시 오산면, 왕궁면과...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일대에 거주하였던 인의송씨 문중의 고문서. 완주군 구이동면에 살았던 인의송씨 가문의 『구이 인의송씨 문중고문서』는 모두 62건으로,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말까지 작성된 것들이다. 호적문서와 교지 및 교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호적문서에 따르면, 인의송씨 가문은 당시 전주부 구이동면 와동리, 덕천리, 지곡리 일대에서 살았...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지편찬위원회에서 번역한 책. 2015년에 간행된 『국역 고산지』는 1964년 회상사에서 간행된 『고산지』 상·하권 2책을 번역한 것으로, 조선시대 옛 고산현 지역, 즉 고산면, 화산면, 운주면, 동상면, 경천면, 비봉면 등 6개 지역에 대한 풍속 지리지이다. 상권은 조선시대 읍지의 편제를 그대로 차용해 1964년 전후의 옛 고산현 지역에 대한 실정을...
-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집대성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고산현과 전주부 지도.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편찬·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帖)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전국 지도첩으로, 남북은 120리 간격으로 22층으로 나누고, 동서는 80리 간격으로 19판(版)으로 구성하였다. 1첩 한 면의 남북 길이가 약 3...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경천리[현 경천면 경천리] 출신인 조선 후기 학자 김재희의 시문집. 『동곡집(東谷集)』은 조선 후기 학자인 김재희의 시문집으로, 1901년 손자 김한철(金漢哲)이 편집하여 5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김재희(金在羲)[1823~1887]의 본관은 강진(康津)이며, 자는 문초(文初), 호는 동곡(東谷)이다. 생원(生員)이 된 후 과...
-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집대성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고산현과 전주부 지도.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편찬·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帖)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전국 지도첩으로, 남북은 120리 간격으로 22층으로 나누고, 동서는 80리 간격으로 19판(版)으로 구성하였다. 1첩 한 면의 남북 길이가 약 3...
-
전라북도 완주군이 포함된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고산현 및 전주부를 비롯한 전라도 지도. 『동국여지도』는 조선 후기 문인 화가인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서화첩인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海南尹氏家傳古畵帖一括)’에 포함되어 있는 조선전도이다. 윤두서는 1712년 해남으로 거처를 옮겨 1715년에 사망하였으므...
-
조선 후기 철종 연간[1849-1863]에 제작된 전국지도인 『동여도(東輿圖)』에 수록된 전주부와 고산현. 『동여도』는 철종·고종 연간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필사본의 전국 채색지도이다. 분첩절첩식(分疊折帖式) 형태로 총 23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차 1첩과 지도 22첩에 전국 각 지역의 지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 『대동여지도』와...
-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집대성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고산현과 전주부 지도.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편찬·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帖)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전국 지도첩으로, 남북은 120리 간격으로 22층으로 나누고, 동서는 80리 간격으로 19판(版)으로 구성하였다. 1첩 한 면의 남북 길이가 약 3...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출신인 김필태의 시문집. 김필태(金必泰)[1728~1792]는 통덕랑(通德郞) 김회통(金會通)의 손자이며, 김천덕(金天德)과 연안(延安) 이만중(李晩重)의 딸 사이에서 1728년(영조 4)에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에서 태어났다. 1746년(영조 22) 부친상과 조모상을 연거푸 당했으나, 슬픔 속에서 예제를 다했다. 1754년 병계...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에 위치한 완주문화원의 소식지. 『만경강』은 군민의 문화행사 소식과 옆집 할머니 이야기, 집 앞의 이끼 낀 돌맹이에 대한 사연 등 주변 이야기를 싣고자 창간했다. 『만경강』은 2004년 창간호부터 2006년 12호까지는 1년 4회 계간지 16쪽으로 간행했으며, 2007년 이후 연 1회 신아출판사에서 간행해 오고 있다. 형...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에서 활동했던 근대 한학자 조형승의 시문집. 『만오유고(晩塢遺稿)』는 근대 한학자인 조형승의 시문집으로, 1967년 손자 조성렬(曺成烈)이 2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조형승(曺亨承)[1854~1916]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만오(晩塢)이다. 근대의 한학자로, 전라북도 진안(鎭安郡)에서 태어났...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출신의 조선 후기 한학자인 전구현의 문집. 『명천재유고(明天齋遺稿)』는 조선 후기의 한학자인 전구현의 문집으로, 1944년 조카 전태연(全泰然)이 2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전구현(全九鉉)[1860~1925]의 본관은 천안(天安)이며, 자는 우범(禹範), 호는 명천(明川) 또는 명천재(明天齋)이다. 조선 후기의 한학자로 전라북...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출신인 오경한의 유고집. 『묵우재유고(默愚齋遺稿)』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인 오경한의 유고집으로, 1930년 장남 오진익(吳震翼)이 편집하고 간행했다. 오경한(吳景漢)[1847~1918]의 본관은 낙안(樂安)이며, 자는 장환(章煥), 호는 묵우재(黙遇齋)로 백안(伯顔)의 후손이다. 조선 말기의 한학자로, 전라북도 완주군...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수선리의 반곡서원에 소장된 고문서. 『반곡서원 소장 고문서』는 93건으로, 18세기 말에 작성된 1건을 제외하면 모두 19세기 초에서 말까지 작성되었다. 대부분의 문서가 반곡사[반곡서원]의 면역과 제향 및 담양국씨 효자 열녀 포창과 관련된 것들이다. 담양국씨와 관련된 문서들이 많은 것은 반곡사가 덕행과 학문이 뛰어난 자신들의 선조를 추모...
-
전라북도 완주군 반곡서원(泮谷書院)에 배향된 고려 후기 무신 국유의 실기(實紀). 『복애선생실기(伏崖先生實紀)』는 고려 후기 무신인 국유의 실기(實紀)로, 1987년 후손 국동렬(鞠東烈)이 1책으로 간행하였다. 국유(鞠襦)[1324~1392]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경덕(敬德), 호는 복애(伏崖)이다.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전록생(田...
-
전라북도 완주군의 한국문인협회 완주지부에서 발간하는 동인지. ‘비비문림(飛飛文林)’이라는 동인지 이름은 완산팔경의 하나인 ‘비비낙안(飛飛落雁)’에서, 한내에 기러기가 사뿐 내려앉는 멋스러움의 ‘비비’와 ‘시문(詩文)’을 모은 책이라는 ‘문림’을 결합해 지었다. 2015년 1월 동인지 『비비문림』 창간호를 발간했다. 한국문인협회 완주지부가 2014년 9월 4일...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출신의 조선 말기 한학자 오신익의 시문집. 『삼국유고(三菊遺稿)』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인 오신익의 시문집으로, 1959년 후손 오병길(吳秉佶)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오신익(吳臣翼)[1865~1916]의 본관은 낙안(樂安)이며, 자는 의중(義仲), 호는 국하재(菊下齋)이다. 조선 말기의 한학자로,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 살았던 전주이씨 문중의 고문서. 『삼례 전주이씨 문중고문서』는 모두 71건으로, 현재는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호적문서가 68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3건은 소지류이다. 작성 시기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 1백여 년에 걸쳐 있다. 당시의 행정구역으로 보면 전라도 전주부 오백조면, 즉 오늘날의 완...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출신인 전경표의 시문집. 전경표(全景杓)[1854~1944]의 자는 회중(晦仲), 호는 삼수재(三修齋)이며, 본관은 관성(管城)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화월리 신화평 출신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헌(趙憲)을 따르다 순절(殉節)한 설(渫)의 11세손이며, 부친은 전규한(全規漢), 모친은 장임추(張任樞)의 딸이다. 연재(淵齋)...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의 삼현사(三賢祠)에 배향된 유중교의 시문집. 유중교(柳重敎)[1821~1893]의 초명은 맹교(孟敎), 자는 치정(穉程), 호는 성재(省齋)이며,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부친은 진사 유조(柳鼂), 모친은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희복(李羲復)의 딸로, 유중교는 서울시 대평동리(大平洞里)에서 태어났다. 5세부터 화서(華西) 이항로(李...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수선리 출신의 조선 중기 학자인 국침의 시문집. 조선 중기 학자인 국침의 시문집으로, 7대손 국진백(鞠鎭百)이 편집하여 1807년에 3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국침(鞠沈)[1576~1654]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심원(深源), 호는 송만(松灣)이다. 국함(鞠涵)의 아우이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송표옹(宋瓢翁)·정화곡(...
-
전라북도 완주군 조촌면 원동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인 유화의 시문집. 『수졸재유고(守拙齋遺稿)』는 조선 후기 문신인 유화의 시문집으로, 1834년 후손 유정(柳淀)·유준(柳浚)·유성양(柳聖養)이 편집하여 3권 3책으로 간행하였다. 유화(柳俰)[1631-169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숙혜(叔惠), 호는 수졸재(守拙齋)이다. 이이, 성혼,...
-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인 김정만의 시문집. 김정만(金正萬)[1880~1955]의 자는 정일(貞一), 호는 신암(愼菴)이며, 본관은 경주이다. 부친 교태(敎泰)와 여흥민씨 치석(致錫)의 딸 사이에서 1880년(고종 17) 전라도 고산현 종리(宗里)에서 태어났다. 4세에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어머니의 극진한 보살핌으로 학문에 몰두할 수 있었다. 경서를 비롯해 문장에...
-
전라북도 완주군 완주문화원에서 출간한 향토지. 향토사료지[『아름다운 완주문화 완주군 향토사료지』]는 2013년 기획되어, 완주군 지역 내 문화유산을 성곽, 봉화대, 향교와 서원, 열녀 효자비, 금석문, 숲, 보호수로 구분해서 정리한 도서이다. 완주군 지역 내 산성 26곳, 봉수대 12곳, 고산향교, 서원 9곳, 열녀 효자비 32개소, 금석문 13개소, 보호수 42건을 조...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 출신인 정종호의 시문집. 정종호(鄭宗好)[1875~1946]의 자와 호가 어암(於巖)이며, 본관은 온양이다. 사헌부 감찰을 지낸 정학교(鄭學敎)와 파평윤씨 상임(相任)의 딸 사이에서 1875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高山) 화평(花坪)에서 태어났다. 효행이 극진했으며, 부모가 돌아가시자 삼년상을 치렀다. 1902년 효렴(孝廉)으로 장사랑(將...
-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집대성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고산현과 전주부 지도.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편찬·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帖)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전국 지도첩으로, 남북은 120리 간격으로 22층으로 나누고, 동서는 80리 간격으로 19판(版)으로 구성하였다. 1첩 한 면의 남북 길이가 약 3...
-
조선 후기 편찬자 미상의 3책으로 구성된 『여지도(輿地圖)』에 있는 전라도 고산현(高山縣) 지도. 『여지도』는 보물 제1592호이며 3책으로 구성된 지도책이다. 1책에는 서구식 세계지도인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 조선전도인 아국총도(我國摠圖),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 지도인 북경도성삼가유시오단팔묘전도(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 중국 지도, 의주-북경 사이의 사신로(使臣...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최두영의 시문집. 최두영(崔斗榮)[1851~1933]의 호는 연강(蓮岡)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山內面) 연동(蓮洞) 출신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토정에 거주했다. 1913년 2월 매국노 이완용(李完用)에게 치죄문(治罪文)을, 일본천황·사내총독(寺內總督)·전라북도 도지사 이두황(李斗璜)에게 항일규탄문서를 발송했다....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백현 출신인 구정래의 시문집. 『연포당집(蓮浦堂集)』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구정래의 시문집으로, 1889년 6대손 구긍조(具兢祖)가 2권 1책으로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구정래(具鼎來)[1634~1698]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자는 내길(來吉), 호는 연포당(蓮浦堂)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로, 허목(許穆)의 문인이다...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출신의 소학규 시문집. 소학규(蘇學奎)[1859~1948]의 자는 화지(化知), 호는 열재(說齋)이며, 본관은 진주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에서 태어났다. 진사 소휘식(蘇輝植)의 아들로 1891년(고종 28) 진사시에 합격했고, 11권의 글을 남겼다. 1900년에는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하에 들어가서 위기지학에 전념했으...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출신의 소학규 시문집. 소학규(蘇學奎)[1859~1948]의 자는 화지(化知), 호는 열재(說齋)이며, 본관은 진주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에서 태어났다. 진사 소휘식(蘇輝植)의 아들로 1891년(고종 28) 진사시에 합격했고, 11권의 글을 남겼다. 1900년에는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하에 들어가서 위기지학에 전념했으...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장구리에 있는 대각사에 보관된 보조국사 지눌이 찬술한 불교서적.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은 고려 선불교(禪佛敎)의 중흥자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1158~1210]이 찬술한 책이다. ‘목우자’는 지눌의 호이며, ‘수심결’이란 마음을 닦는 요결(要訣)이라는 의미이다. 『완주 대각사 목우자수심결』은 1책이며, 목판본으로, 1...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장구리의 대각사에 보관되어 있는 불교 서적.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은 중생(衆生)으로 하여금 범부(凡夫)의 자리를 벗어나 성인(聖人)의 지위에 들어가기를 권하기 위해 지은 불서(佛書)이다. 2016년 12월 9일에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39호로 지정되었다. 『완주...
-
전라북도 완주군의 역사와 문화 전반 및 정치, 교육, 행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향토지. 완주군은 지리적으로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다 보니 군의 정체성이 전주시와 겹쳐지면서 축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완주군의 역사와 문화를 총괄적으로 정리하여 완주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송하철 군수 시절 군사(郡史) 발간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군사편찬위원회...
-
전라북도 완주군 완주군청 기획감사실에서 완주 소식을 알리는 온라인 신문. 『완주군인터넷신문』은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2006년 10월 1일부터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완주군인터넷신문』은 주민행정과 지역경제, 문화·관광, 보건·복지, 농업·산림, 건설·재난안전 등 6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해서 해당 실·과·소에서 생산하는 보도 자료를 사진과...
-
전라북도 완주군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1996년에 간행한 향토지. 완주군에서는 전북향토문화연구회 측과 함께 1994년 5월 『완주군지』 발간을 위하여 완주군지편찬위원회을 구성하고 집필진을 선정하여 원고 집필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1996년 2월까지 원고 집필을 마감한 이후 제출된 원고의 교정 및 편집을 거쳐 1996년 6월에 『완주군지』를 간행하...
-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간행한 구전설화 자료집. 완주문화원에서는 전라북도 완주 지역의 고유 문화유산의 소중함과 지역 사랑의 마음을 기초로 전라북도 완주 지역의 지명·암석 전설, 사찰·당산·인물·동물·풍수 설화를 조사 및 연구를 해서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고장의 유산을 보존하여 후손들에게 애향심과 긍지를 갖도록 하고 더불어 전통생활문화를 바탕...
-
전라북도 완주군 완주문화원에서 발간한 향토지. 『완주인물』은 2016년에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에 있는 완주문화원에서 발간한 도서이다. 완주문화원에서 완주군의 지원을 받아 간행되었다. 『완주인물』은 2016년 12월 25일에 인쇄되었고, 2016년 12월 31일에 발행했다. 발행처는 완주문화원이며, 발행인은 완주문화원장 이행구이다. 집필에는 이희권[전...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위치한 지역 주간지. 『완주전주신문』은 2014년 8월 1일에 창간호를 발행했다. 『완주전주신문』은 발행인 인사말을 통해 ‘주민과 함께 호흡하는 참 된 대변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역 주민의 생활 속에 깊이 스며들어 주민의 기쁨과 아픔을 함께 나누고 싶은 언론, 주민의 알 권리와 진솔한 여론을 담아내어 줄 언론, 지역 분열을 조...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출신의 근대 한학자 임병룡의 문집. 『용치재유고(用致齋遺稿)』는 근대 한학자인 임병룡의 문집으로, 1990년 손자 임곤수(林坤銖)가 15권 7책으로 간행하였다. 임병룡(林秉龍)[1864~1939]의 본관은 조양(兆陽)이며, 호는 용치재(用致齋) 또는 양촌(讓村)이다. 근대의 한학자로,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에서...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종리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인 구치용의 시문집. 조선 후기 학자인 구치용의 시문집으로, 1922년 8세손 구긍조(具兢祖)·구승조(具承祖)와 9세손 구연승(具然昇)이 6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구치용(具致用)[1590~1666]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자는 기지(器之), 호는 우교당(于郊堂) 또는 고산(高山)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인 우곡 임상우와 그의 아들 한천재 임낙풍의 시문집. 임상우(林尙愚)[1761~1823]의 자는 민첨(民瞻), 호는 우곡(愚谷)이며, 본관은 조양(兆陽)이다. 부친은 광흡(光洽)이며, 모친은 문화유씨 시곤(時坤)의 딸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총명리에서 태어났으며, 단정하고 총명했다. 18년 동안 부친의 병을 간호했으며, 형제들이...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 출신의 근대 한학자인 전옥현의 문집. 『일산당유고(一山堂遺稿)』는 근대의 한학자인 전옥현의 문집으로, 1970년 조카 전태연(全泰然)이 2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전옥현(全玉鉉)[1869~1935]의 본관은 천안(天安)이며, 자는 희범(希範), 호는 일산당(一山堂)이다. 근대의 한학자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에...
-
1899년(광무 3)에 편찬된 『전라북도각군읍지』중 고산군[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 해당하는 읍지. 『전라북도각군읍지』 「고산군」1899는 1899년(광무 3) 전국 읍지상송령 이후에 만들어진 전라북도(全羅北道) 26군(郡)의 읍지(邑誌) 중 고산군에 관한 읍지이다. 『전라북도각군읍지』 「고산군」189...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수선리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국명의 시문집. 『죽계집(竹溪集)』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국명의 시문집으로, 1915년 후손 국천환(鞠天煥)이 3권 1책으로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국명(鞠溟)[1583~1645]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거원(巨源), 호는 죽계(竹溪)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로,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종리 출신의 조선 중기 문신인 구영의 시문집. 조선 중기 문신인 구영의 시문집으로, 1668년 아들 구치성(具致成)과 구치겸(具致兼)의 편집을 거쳐 제자 윤변(尹抃)이 3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구영(具瑩)[1584~1663]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자는 영연(瑩然), 호는 죽유(竹牖)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광해군 때 나...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의 구호서원에 배향되어 있는 박종열의 시문집. 박종열(朴宗說)[1754~1822]의 자는 회중(晦仲), 호는 창백당(蒼柏堂),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조부 성규(聖揆)는 여호(黎湖) 박필주(朴弼周)의 문인, 부친 승주(承周)는 운평(雲坪)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대대로 성리학에 힘쓴 가문이었다. 모친은 여산송씨 진사 지탁(之鐸)의 딸...
-
조선 후기 제작한 『청구도(靑邱圖)』에 수록된 고산현과 전주부 지도 『청구도』는 1834년(순조 34)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채색 필사본 전국지도로, 현전하는 3점의 『청구도』가 2008년 12월 22일에 보물 제1594-1호[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제1594-2호[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2009년 4월 22일에 보물 제1594-3호[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
1895년(고종 32)에 제작된 『청구요람(靑邱要覽)』에 수록된 전주부와 고산현 지도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분첩식 대축척 전국지도인 『청구도』의 이본으로 알려진 『청구요람』은 국내에 9본(本), 국외에 8본[일본 7본, 미국 1본]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용은 크게 4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청구도범례(靑邱圖凡例)’가 들어 있는 경...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삼현사(三賢祠)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인 유숙의 시문집. 『취흘집(醉吃集)』은 조선 전기 문신인 유숙의 시문집으로, 1882년 약계서당(藥溪書堂)에서 5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유숙(柳潚)[1564~1636]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연숙(淵叔), 호는 취흘(醉吃)이다. 1597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
1750년대 초에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에 수록된 전라도 고산현(全羅道 高山縣) 지도. 『해동지도』는 1750년대 초에 그려진 지도책으로, 후대에 제작된 지도들의 모범이 될 정도로 체계적으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지리 정보들이 회화식으로 채색되어 있다. 영조 대에 작성된 도별 읍지인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제작 연대와 비슷한 시기로 추정되며, 도별 읍지를 보완하...
-
1871년과 1895년에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고산현[완주군 고산면] 읍지. 『호남읍지』는 1871년 제1차 총11책[규장각본, 한국교회사연구소본], 1895년 제2차 총18책[규장각본] 등 2차례에 걸쳐서 편찬되었다. 『호남읍지』는 19세기 고종 초기의 정국 운영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다. 고종 연간에는 탕평군주(蕩平君主)를 모범으로 삼아서 다양...
-
조선 후기에 제작된 『호남지도(湖南地圖)』에 수록되어 있는 고산현(高山縣) 지도 『호남지도』는 전라도 군현을 그린 채색 필사본 지도집으로 보물 제1588호이다. 일명 비변사인방안(備邊司印方眼)지도라고 한다. 제1~6첩에는 전라도 53개 고을의 지도[제주, 대정, 정의 제외]가, 제7첩에는 전라도전도와 전라좌도지도, 전라우도지도 등 3매가 수록되어 있다. 제1~6첩의 53...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황운리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인 홍남립의 시문집. 조선 후기 문신인 홍남립의 시문집으로, 1916년 기우만(奇宇萬)이 편집하여 13권 5책으로 간행하였다. 홍남립(洪南立)[1606~1679]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탁이(卓爾), 호는 화곡(華谷)이다. 어려서는 봉곡(鳳谷) 김동준(金東準)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성인이 돼서는 사계...
-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인 홍경하의 시문집. 홍경하(洪景夏)[1888~1949]의 자는 경행(敬行), 호는 화운(華雲)이며,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병자호란 이후 출사하지 않았던 홍남립(洪南立)의 11대손이다. 부친은 순학(淳學), 모친은 참의를 지낸 전주이씨 이용선(李容善)의 딸이다.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승동에서 태어났으며, 주로 전라북도 완주군 조촌면...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수선리 출신의 조선 중기 학자인 국함의 시문집. 조선 중기 학자인 국함의 시문집으로, 5대손 국치권(鞠致權)이 편집해서 1913년에 4권 2책으로 간행했다. 국함(鞠涵)[1573~1653]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양원(養源), 호는 환성(喚醒)이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송표옹(宋瓢翁)·정화곡(鄭禾谷)·심초정(沈草亭)·구...
-
1985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고산성당과 고산 카톨릭농민회가 주축이 되어 일으킨 농민운동. 1985년 7월, 천주교 전주교구 고산교회[고산성당]의 문규현 신부와 신자들이 중심이 되어 “외국농축산물 수입 반대와 소값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시작, 성직자 폭행과 십자가 훼손이라는 종교 탄압 등이 벌어졌으나, 1985년 9월에 마무리된 농민운동으로 “소와 쇠고기 수입 중단, 학자...
-
1985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고산성당과 고산 카톨릭농민회가 주축이 되어 일으킨 농민운동. 1985년 7월, 천주교 전주교구 고산교회[고산성당]의 문규현 신부와 신자들이 중심이 되어 “외국농축산물 수입 반대와 소값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시작, 성직자 폭행과 십자가 훼손이라는 종교 탄압 등이 벌어졌으나, 1985년 9월에 마무리된 농민운동으로 “소와 쇠고기 수입 중단, 학자...
-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전쟁 기간 동안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일어난 각종 사건. 1950년 6월 25일 기습적으로 남침한 북한군은 1950년 7월 20일 전라북도 완주군을 점령했다. 그로부터 약 2개월 후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계기로 반격을 시작한 국군은 1950년 9월 28일 완주군을 수복했으며, 퇴로가 끊긴 북한군 패잔병들은 지리산, 덕유산, 백운산...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출신의 인도네시아 독립운동가. 양칠성(梁七星)[1919~1949]은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출신의 인도네시아 독립운동가이다. 양칠성의 일본식 이름은 야나가와 시치세이[梁川七星]이며, 인도네시아어로는 KomArudin이다. 양칠성의 작은아버지는 양금암(梁金岩)이며, 숙모는 최은동(崔銀東)이다. 사촌은 양남수이다....
-
전라북도 완주군의 지적측량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법인. 한국국토정보공사 완주지사는 지적측량과 지적정보체계의 구축, 지적 재조사 사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지적측량 업무는 1938년 1월 24일 창설된 조선지적협회에서 대행해오다 1949년 5월 대한지적협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1962년 1월 지적측량 업무가 재무부에서 내무부로 이관됐으...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에 위치한 미술전시관. 모모미술관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만나는 두 가지 영역을 보듬어 미술 영역을 보다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확장시키는 창의적인 공간이다. 모모미술관의 ‘모모’라는 뜻은 여러 사람과 사물의 이러저러한 면을 통틀어 말한다. 모모미술관은 다양한 작가와 미술 장르를 선보이고, 대중과 공감할 수 있는 전시로 관람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