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심리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463
한자 花心里山城
영어공식명칭 Hwasimrisanseong Fortress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 산130-1 일원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강원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완주 화심리산성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 산 130-1 지도보기 일원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 석성
크기(높이,길이,둘레) 341.5m[둘레]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자리하고 있는 삼국시대 산성.

[개설]

화심리산성은 백제시대에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에 있는 해발 154m 산 정상부 주위에 축성된 테뫼식 석성이다.

[건립 경위]

화심리산성 관련 역사문헌 기록은 없으나, 1960년대에 조사한 내용을 2003년 『전북 고대산성조사보고서(全北 古代山城調査報告書)』에 처음으로 보고하였으며, 2017년 완주군에서 전수 조사한 『완주군 향토문화유산』에 소개되어 있다. 두 보고서에는 화심리산성 내부에서 백제시대 토기와 기와 조각이 산재하고 있어서 백제시대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위치]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진안 방면의 국도 26호선을 따라가다가 진안고원으로 오르는 보룡(寶龍)고개[또는 소태정재] 못 미친 지점에 화심교차로가 나온다. 화심교차로를 지나면 곧바로 완주군 상관면 신리를 잇는 지방도 749호선의 삼거리가 나오며, 이 길을 따라 소양천(所陽川)을 건너는 화심교를 지나면 서쪽에 해발 154m의 산이 보인다. 화심리산성은 이 산의 정상부 주위를 감싸고 있다.

[형태]

화심리산성은 해발 154m의 산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테뫼식[山頂式] 석성(石城)으로 분류된다. 화심리산성의 평면 형태는 북쪽 성벽이 남쪽 성벽보다 긴 사다리꼴형에 가깝다. 화심리산성의 동쪽에는 길이 18.5m, 너비 20m의 말굽형의 평탄지(平坦地)와 수구지(水口址)[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터]가 있으며, 높이 9m의 석축(石築)이 확인된 바 있다. 북쪽과 서쪽 성벽의 안쪽에는 너비 14~20m의 회랑도(回廊道)가 둘러져 있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화심리산성은 토성(土城)으로 보고되었다. 성벽의 잔존길이는 동벽 117m, 북벽 106m, 서벽 62.5m, 남벽 56m 등 전체 둘레는 341.5m에 이른다. 성문지(城門址)는 남동쪽과 북서쪽에 각각 1곳씩 확인된 바 있다. 화심리산성 내부에는 백제시대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 등이 산재해 있다. 기와의 경우 제작 시 기와를 나누기 위한 와도(瓦刀) 자국이 확인되는데 이러한 분할 방법은 백제시대의 기와에만 나타나는 기법이다.

[현황]

화심리산성은 1960년대 조사로 무너진 성돌이 확인되어 석성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토축산성으로 보고 있다. 1960년대 당시 민둥산이었던 곳에 성돌의 확인이 어렵지 않았으나 후대에 수풀이 우거지고 부엽토가 쌓여 성벽의 확인이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성벽의 통과선(通過線)은 맨눈으로 잘 관찰된다. 남쪽 성벽은 민묘(民墓) 조성을 위해 진입로 개설로 훼손되었고, 이 과정에서 백제~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노출되었다. 화심리산성 내부 곳곳에도 민묘군이 조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화심리산성은 지정학적으로 많은 교통로가 분기되는 목진지에 자리하고 있다. 화심리산성은 남에서 북으로 뻗어 있는 금남정맥(錦南正脈)의 동쪽 지역인 진안고원과 금남정맥의 서쪽 지역인 평지를 잇는 완충 지역에 해당하며, 진안고원을 잇는 보룡고개, 모래재, 적천치(笛川峙), 웅치(熊峙) 등이 이곳에서부터 분기되는 교통로 상의 요충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