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734 |
---|---|
한자 | 李道衡 |
영어공식명칭 | Lee Do-hyeong |
이칭/별칭 | 장영(長榮),면와(俛窩) |
분야 | 성씨·인물/근현대 인물,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박노석 |
출생 시기/일시 | 1909년 - 이도형 출생 |
---|---|
몰년 시기/일시 | 1974년 - 이도형 사망 |
출생지 | 이도형 출생지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 |
거주|이주지 | 이도형 이주지 - 전라북도 전주시 교동 |
성격 | 유학자 |
성별 | 남자 |
본관 | 전의(全義) |
대표 관직|경력 | 성균관이사 |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유학자.
[가계]
이도형(李道衡)[1909~1974]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장영(長榮)이고, 호는 면와(俛窩)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이영재(李榮在), 증조할아버지는 이명진(李命鎭), 할아버지는 문과에 급제하고 홍문관교리를 지낸 이봉덕(李鳳德), 아버지는 고재(顧齋) 이병은(李炳殷)이다. 외할아버지는 남양홍씨이다. 아들은 이남안(李南安), 손자는 이천승이다.
[활동 사항]
이도형은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에서 출생했지만, 아버지 고재 이병은을 따라 전주로 이거해서 생활했다. 금재(欽齋) 최병심(崔秉心)[1874~1957]에게 수학했으며 호남 일대에서 학문과 문장으로 널리 알려진 한학자이다. 한때 성균관이사(成均館理事)를 지냈고, 전주향교의 전교(典校)를 연이어 역임하면서 쇠미해가는 유학의 수호에 큰 공을 남겼다.
[학문과 저술]
이도형의 유고로는 『면와집(俛窩集)』 3권 필사본이 전하고 있는데 간행되지 않고 집안에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