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308
한자 -打令
영어공식명칭 Norigae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이칭/별칭 「노리개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2년 3월 - 「노리개타령」 김종두가 김생관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노리개타령」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 「노리개타령」으로 수록
채록지 「노리개타령」 -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지도보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가족을 노리개에 빗대어 부르는 유희요.

[채록/수집 상황]

「노리개타령」은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 수록되어 있다. 김종두는 1982년 3월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무지마을 주민 김생관[여, 66세]에게 「노리개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채록했다. 한국구비문학대계 누리집에 전라북도 완주군 주민 조옥례, 김순례가 부른 「노리개 노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노리개타령」은 혼자 부르는 유희요이다. 가족들을 순차적으로 거명하면서 적절한 노리개와 연결 짓고 있다. 반복되는 선율의 연속이다. 노래 제목에 붙은 ‘타령’은 장단이나 악곡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흥얼거리는 민요조의 되풀이 반복되는 노래’라는 의미이다.

[내용]

울 아버지 썽낸디는 담배설대가 노루개요 // 울 어머니 썽낸디는 막내딸이 노루개요 // 우리 올캐 썽낸디는 몽둥이가 노루개요 //

우리 오빠 썽낸디는 기생방이 노루개요 // 우리 머슴 썽낸디는 지게목발이 노루개요

[의의와 평가]

‘노리개’라는 핵심어의 반복이 형식의 얼개가 되어, 한 가족을 이루는 사람들의 생활상 단면을 보여주는 노래이다. 노리개는 심심풀이로 가지고 노는 장난감을 말한다. 그러나 「노리개타령」에 담긴 노리개는 단순한 장난감 수준이 아니다. 행위 주체가 가장 아끼거나, 특별히 탐닉하거나, 불가분의 관계거나, 많이 사용하는 물건들을 나열하고 있어서, 시대적 사회상을 엿볼 수 있으며, 그 관계 맺기 속에서 풍자와 해학이 드러난다.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부르는 「노리개타령」은 단순한 관계 맺기가 아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는 “우리 어머니 노리개는 골무 바늘이 노리개요 / 우리 아버지 노리개는 담뱃대가 노리개요”라는 식으로 부르는데, 전라북도 완주군 「노리개타령」은 더 극적이다. 즉 ‘성질이 났을 때’라는 특정한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가장 본능적으로 찾거나 특효가 될 만한 물건이나 대상과 연결 짓고 있는 것이 독특하다. 그래서 전라북도 완주군 「노리개타령」은 상황 설정 면에서 훨씬 극적인 입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