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346
한자 蓮岡集
영어공식명칭 Yeongangjib (Collection of Hwa Du-yong's poetry and prose work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김봉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1916년연표보기 - 『연강집』 저술
소장처 독립기념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화리 230-1
성격 문집
저자 최두영(崔斗榮)
권책 2책[권1, 2 결본]
행자 10행 22자
규격 20.6×13.8㎝
권수제 연강집(蓮岡集)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최두영의 시문집.

[저자]

최두영(崔斗榮)[1851~1933]의 호는 연강(蓮岡)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山內面) 연동(蓮洞) 출신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명덕리 토정에 거주했다. 1913년 2월 매국노 이완용(李完用)에게 치죄문(治罪文)을, 일본천황·사내총독(寺內總督)·전라북도 도지사 이두황(李斗璜)에게 항일규탄문서를 발송했다. 그 문서에 “일본천황 대정에게 피로 복수하겠다[萬古血讐大正]”, “대정의 머리를 베어 우리 황제의 앞에 바치겠다[斬其大正之頭 獻于我皇上前]”라는 문구가 있어서 1914년 6월 체포되었다. 1914년 10월 30일 대구복심법원(覆審法院)[고등법원보다 낮고 지방법원보다 높은 일제강점기 재판소]에서 징역 3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편찬/간행 경위]

최두영이 옥중생활을 하던 1914년부터 1916년까지 작성되었다. 이 문집을 독립기념관에 정본으로 기증하였다고 하나, 독립기념관에는 『연강집(蓮岡集)』 권3과 권4만 보관되어 있다. 1914년 4월 상순, 1915년 1월 3일, 1916년 1월 3일 감옥에서 각각 기록한 내용이다.

[형태/서지]

『연강집(蓮岡集)』은 2책으로 되어 있으며, 필사본이다. 사주쌍변(四周雙邊)[지면의 둘레를 두 개의 검은 선으로 두름]이며, 계선(界線)[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는 선]이 있다. 10행 22자이며, 주는 쌍행이고, 20.6×13.8㎝이다.

[구성/내용]

『연강집(蓮岡集)』 권3은 표지에 ‘갑인사월상한사(甲寅四月上浣寫)’, ‘을묘원월삼일등옥중시(乙卯元月三日謄獄中詩)’, ‘병진원월삼일등옥중시(丙辰元月三日謄獄中詩)’라고 되어 있다. 이어 ‘책혈수대정(責血讐大正)’, ‘책대역부도완용(責大逆不道完用)’, ‘송일본민권당(送日本民權黨)’ 등 일본과 매국노를 규탄하는 시, 옥중생활에서의 느낌을 적은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4는 표지에 ‘갑인사월상한(甲寅四月上浣)’이라 적혀 있고, 「연강서(蓮岡序)」와 「연강자서(蓮岡自序)」, 「연강기((蓮岡記) 」 등 저자의 호와 관련된 글과 6편의 기문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일본 천황과 총독, 이완용 등을 꾸짖는 서간문과 「몽색조선가(蒙索朝鮮歌)」, 유서(遺書), 제문(祭文), 「갑인칠월이오장서사삼년구수일기(甲寅七月以五長書事三年拘囚日記)」 등의 일기, 훈가서(訓家書), 교자문(敎子文), 권농문(勸農文), 경속문(警俗文), 복구문(復舊文), 훈시배문(訓時輩文), 탄시가(歎詩歌), 감몽가(感夢歌) 등 시국을 비판하는 글과 송계서(松契序), 위친계서(爲親契序)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잡저(雜著)에 해당하는 『대학(大學)』 1편이 해설되어 있어서 미완의 문집임을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연강집(蓮岡集)』은 한일병합조약 이후 일본 천황과 총독, 매국노를 규탄하는 최두영의 항일운동 경력과 우국지사의 면모, 옥중생활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