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051 |
---|---|
한자 | 雲門川 |
영어공식명칭 | Unmun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전구간 | 운문천 - 전라북도 완주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운문천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 운문골![]() |
성격 | 하천 |
면적 | 4.92㎢ |
길이 | 7㎞ |
폭 | 20~25m |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에서 시작되어 고산천으로 유입되는 만경강의 지류 하천.
운문천은 완주군 고산면과 운주면 경계에 위치하는 칠백이고지에서 발원하여 고산천으로 흘러가는 만경강의 지류이다.
운문천은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 운문골에 있었던 운문사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운문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고려시대에 번성했던 사찰인데, 6.25전쟁중에 소실되었다가 최근에 복원되었다.
운문천은 완주군 고산면과 경천면 사이의 새재 북동쪽 605.9m 봉우리 아래 사면과 칠백이고지[700.8m]에서 시작된 물줄기가 북암골의 운문사 터를 지나 운문저수지에서 모이고, 소향리 독서골의 물과 합류하며, 소향리의 운용과 대향마을을 지나 소향교, 용암교에서 대아저수지에서 내려오는 물과 합류하여 고산천으로 유입되어 만경강으로 흐른다. 상류에는 운문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운문천은 고산면 운문골을 흘러 소향리에서 고산천과 만나는 길이 7㎞, 유역면적 4.92㎢의 하천이다. 주변은 칠백이고지, 새재, 봉수대산[581.0m], 운암산[590m]의 유역으로 운문계곡이라고 불린다. 운문천은 전체적으로 소향리를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며, 중류에 운문마을이 있고, 하류에 운용마을과 대향마을, 신상마을이 위치한다. 봉수대산[581.0m]의 정상에 위치하는 봉수대[고산면 소향리]는 조선시대의 봉수대이다. 소향리 산성[고산면 소향리]은 산 정상에 축조된 테뫼식 산성으로, 백제시대의 기와와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운문천 하류 지역의 창포 체험마을에는 4천평에 이르는 국내 최대의 토종 창포군락지가 있고, 다듬이 할머니연주단, 들녘밥상[식당], 인성학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