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0414 |
---|---|
한자 | 三會里 全義 李氏 墓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산61-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헌재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559년 - 이수준 출생 |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598년 - 이석기 출생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607년 - 이수준 사망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623년 - 이행운 출생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653년 - 이석기 사망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691년 - 이행운 사망 |
현 소재지 | 삼회리 전의 이씨 묘군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산61-2 |
성격 | 묘역 |
관련 인물 | 이수준|이학기|이석기|이행운 |
[정의]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전의 이씨 집단 묘역.
[개설]
삼회리 전의 이씨 묘군은 이수준(李壽俊)[1559~1607]과 이학기(李學基), 이석기(李碩基)[1598~1653], 이행운(李行運)[1623~1691] 등의 무덤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수준의 자는 태징(台徵)이고, 호는 지범재(志範齋)·용계(龍溪)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춘추관 편수관으로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실록을 중인(重印)하는 작업에 참여하였다.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이학기와 이석기는 이수준의 아들이며, 이학기가 형이다. 이석기는 1624년(인조 2)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종친부(宗親府) 전부(典簿), 호조 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숭록대부·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이행운은 이석기의 아들로, 자는 사형(士亨), 호는 눌재(訥齋)이다. 1652년(효종 3) 진사시에 합격한 후 영릉참봉, 연산현감, 정선군수 등을 지냈다.
[위치]
삼회리 전의 이씨 묘군은 363번 도로 인근 잣나무골 야산에 있다.
[형태]
삼회리 전의 이씨 묘군은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다. 이수준 묘역은 삼각형으로 3기의 봉분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수준과 부인 안동 김씨, 양천 허씨의 무덤이다. 봉분에 호석을 둘렀고, 묘표, 혼유석, 동자석 1쌍이 계절(階節)[무덤 앞에 평평하게 만들어 놓은 땅] 상단에 있다. 하단에는 상석, 향로석, 망주석과 문인석 각 1쌍이 있다. 묘표는 화강암제로 팔작지붕 형태의 옥개석과 비신, 기대로 구성되었으며, 1631년(인조 9)에 세워졌다. 크기는 옥개석 가로 92㎝, 두께 55㎝, 높이 36cm, 비신 가로 61.5㎝, 두께 11.5㎝, 높이 132cm, 기대석 가로 104㎝, 두께 61㎝, 높이 25cm의 크기이다.
이수준 묘역 앞으로 이행운, 이종식, 이덕위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고, 뒤쪽으로 이학기, 이석기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이행운의 묘는 부인 여주 이씨와의 합장묘로 서향을 하고 있다. 원형의 봉분과 묘표,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1쌍이 있다. 이학기와 이석기의 묘역에는 묘비와 상석, 망주석이 각기 1쌍 있다. 이학기의 묘비에는 지붕돌이 없는 반면, 이석기의 묘비에는 지붕돌을 얹었다.
[금석문]
이수준의 묘표 전면에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령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통정대부행영흥대도호부사영흥진병마첨절제사이공수준지묘(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 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世子師通政大夫行永興大都護府使永興鎭兵馬僉節制使李公壽俊之墓)’라고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