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0435 |
---|---|
한자 | 胎封里 延安 李氏 碑群 |
이칭/별칭 | 태봉리 연안 이씨 신도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골길 93-8[태봉리 29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방문식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670년 - 이우신 출생 |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08년 - 이익보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744년 - 이우신 사망 |
건립 시기/일시 | 1752년 - 이익보(추정) 신도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756년 - 이우신 신도비 건립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767년 - 이익보 사망 |
현 소재지 | 태봉리 연안이씨 비군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골길 93-8[태봉리 295] |
성격 | 신도비 |
관련 인물 | 이우신|이계|이익보 |
재질 | 석재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너비 95㎝, 두께 29.7㎝, 높이 203㎝[이계 신도비]|너비 75.5㎝, 두께 50.5㎝, 높이 201㎝[이우신 신도비]|너비 68㎝, 두께 53㎝, 높이 187㎝[추정 이익보 신도비] |
[정의]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있는 조선 시대 연안 이씨 가문의 신도비군.
[개설]
태봉리 연안 이씨 비군은 3기로 이루어진 연안 이씨 가문의 신도비군이다.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고손자인 백열(伯說) 이우신(李雨臣)[1670~1744]의 신도비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이정구의 아버지인 경담(景膽) 이계(李啓), 오른쪽에는 관찰사를 지낸 이익보(李益輔)[1708~1767]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신도비는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의 행적을 기록하여 무덤 앞이나 무덤 가는 길목에 세우는 비로, 당대의 명문장가와 서예가의 글씨가 새겨지는 경우가 많다.
[변천]
태봉리 연안 이씨 비군은 경기도 용인시, 군포시 등지에서 가평군 상면 태봉리로 이전해 온 것이다. 이우신 신도비는 1756년(영조 32)에 세웠고, 이익보(李益輔)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도비는 1752년(영조 28)에 만든 것을 1894년(고종 31)에 다시 세운 것이다. 이계 신도비의 건립 연대는 비문이 마모되어 알 수 없다.
[위치]
태봉리 연안 이씨 비군은 경기도 기념물 제79호인 이정구선생묘 및 삼세신도비로 가는 길가에 있다.
[형태]
태봉리 연안 이씨 비군의 신도비는 모두 직육면체의 비신석(碑身石)과 가첨석(加添石), 비대석(碑臺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만들어진 부분도 보인다. 비신 각각의 규모를 보면, 이계 신도비는 너비 95㎝, 두께 29.7㎝, 높이 203㎝이고, 이우신 신도비는 너비 75.5㎝, 두께 50.5㎝, 높이 201㎝이다. 이익보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도비는 너비 68㎝, 두께 53㎝, 높이 187㎝이다.
[금석문]
태봉리 연안 이씨 비군은 이우신 신도비를 제외하면 마모와 훼손이 심해서 완전한 판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우신 신도비 비제는 ‘증좌찬성십탄공휘우신신도비명(贈左贊成十離公諱雨臣神道碑銘)’이다. 비문은 유척기(兪拓基)가 짓고 전(篆) 하였으며, 비문은 유공권(柳公權)의 글자를 집자(集字)하였다. 이계의 비문은 신흠(申欽)이 짓고 이홍주(李弘胄)가 썼으며, 김상용(金尙容)이 전(篆) 하였다. 이익보(李益輔)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도비는 노사수(盧師洙)가 짓고 썼다.
가장 상태가 좋은 이우신 신도비는 비교적 해제가 잘 되어 있으며, 내용상 몇 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이우신의 생전 언행과 식견을 추모하면서 시작되며, 이어서 연안 이씨의 내력이 이우신에게 이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그다음 이우신이 사복시 첨정, 첨지중추부사, 한성부 우윤 등의 관직을 역임하면서 세운 애민의 업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우신의 부인과 자녀의 성품 및 업적을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우신의 생애가 유척기(兪拓基)가 지은 시로 요약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태봉리 연안 이씨 비군은 비문이 일부 마모되긴 하였지만, 금석학이나 서예사 분야에서 연구 자료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