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리마애석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383
한자 水滿里磨崖石佛
영어공식명칭 Rock-carved a Stone statue of Buddha at Suman-ri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불상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4-3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진정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12월 27일연표보기 - 수만리마애석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수만리마애석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수만리마애석불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4-3 지도보기
원소재지 수만리마애석불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4-3
성격 불상
재질
크기(높이) 580㎝
관리자 완주군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천왕봉 아래 대형 암벽에 새겨진 고려 초 마애석불.

[개설]

완주 위봉사를 지나 수만리 저수지 쪽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공덕교가 나온다. 공덕교를 지나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면 산 중턱에 ‘산재당’이라는 작은 암자가 나오는데, 수만리마애석불은 암자 뒤쪽 천왕봉 아래 대형 암벽에 정남향하여 조각되어 있다.

[형태]

수만리마애석불은 거대한 상체에 비해 하체는 빈약한 편이며, 옷주름도 모두 선조화된 평면적인 마애불이다. 얼굴은 양감이 지나쳐 비만한 것처럼 보이는 방형이다. 눈은 지그시 감고 있으며, 코는 두툼하고, 입은 꽉 다물고 있어 우울한 표정이다. 머리는 민머리에 낮은 육계가 있으며, 목에는 이도, 즉 2줄의 선이 새겨져 있다. 신체는 건장한 어깨와 비만한 상체로 장대한 느낌을 주지만, 몸의 굴곡이 전혀 없고 옷주름은 힘이 빠져 전체적으로 생동감을 찾아볼 수 없다. 대의[설법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승려의 옷]는 내의 위에 편삼을 갖춰 입는 소위 이중착의법을 보인다. 이는 신라 하대 즉 9세기 이후 통일신라 불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그뿐만 아니라 9세기부터 유행했던 평행밀집식 혹은 계단식의 도식화된 옷주름을 보인다. 수인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이 땅을 향하고, 왼손은 복부에 둔 항마촉지인이다. 가부좌한 하체는 마멸되어 세부 특징을 살펴보기에 어려움이 있으나, 상체보다 위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방형의 대좌는 옷자락을 덮고 있는 상현좌이다. 아울러 수만리마애석불 주위에는 광배[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것으로 몸 뒤쪽에 둥근 장식물로 표현]를 의도했던 것으로 보이는 평행선이 새겨져 있다. 한편 수만리마애석불 머리 위에는 목조가구의 결구홈으로 보이는 장방형의 홈이 패여 있고, 수만리마애석불 주변에서 기왓조각이 수습되고 있어, 원래는 수만리마애석불을 보호하는 별도의 시설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의의와 평가]

착의법과 옷주름, 수인 등은 수만리마애석불이 통일신라 불상 양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거대한 상체와 왜소한 하체의 불균형, 침잠한 얼굴, 느슨하고 힘이 빠진 선각, 단순해진 장식 등으로 볼 때, 수만리마애석불이 고려 초 민(民)이 주도한 향도결사[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신도들의 결사]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 이처럼 수만리마애석불은 고려 초 완주 지역의 향도결사에 의한 불상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 가운데 하나로, 1979년 12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