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259
한자 遊戱謠
영어공식명칭 Amusement Song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집필자 김성식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승되는 민요 가운데 주로 놀면서 즐기기 위해서 부르는 민요.

[개설]

유희요는 노동요와 의식요를 제외한 대부분 민요가 포함되기 때문에 악곡 수로는 압도적으로 많다. 민요를 구분할 때 ‘기능’을 중심에 두고 기능요와 비기능요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때 비기능요의 대다수가 유희요에 해당한다. 비기능요는 내용 및 형식상 제약이 별로 없으며, 주요 주제는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소망·기쁨·즐거움·괴로움 등이다. 따라서 다른 민요에 비해 서정성이 강하다.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도라지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유희요의 유형]

유희요는 종류도 다양하다. 「강강술래」, 「산아지타령」 같은 전통적 유희요가 있는가 하면, 「노랫가락」, 「창부타령」와 같은 근대 통속민요 계열도 많다. 이 밖에도 「이거리저거리각거리」처럼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동작 유희요, 「천자뒤풀이」나 「장타령」 같은 언어 유희요, 「이빨빠진도장구」 같은 놀림 유희요, 「징검이타령」처럼 각종 동식물을 대상으로 한 유희요도 많다. 동요의 경우도 대부분 유희요에 포함된다. 유희요의 상당수는 ‘가창 유희요’라고 할 수 있다. 노래 부르는 것 자체를 즐기면서 부르는 노래가 가창 유희요로, 통속 민요들이 여기에 속한다. 뿐만 아니라 부녀자들의 「신세타령」, 「시집살이민요」, 사랑의 마음을 담고 있는 「연정요」 등도 가창 유희요 범주에 속한다.

[완주군 유희요의 존재양상]

전라북도 완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유희요 가운데 각종 조사보고서에 수록된 악곡은 다양하다.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에는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조사한 「부잣집맏딸애기」, 「기생절개가」, 「물방아타령」, 「흥타령」, 「아리랑」 등의 유희요가 수록되어 있다. 『전북의 민요』[전북애향운동본부, 1989]에는 「환갑노래」, 「장모타령」, 「새타령」 등의 유희요가 소개되어 있다.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 하위분류 『한국민요대전』에도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조사·수집한 여러 곡의 유희요를 감상할 수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상고쟁이마을의 「흥글소리」,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 자포2구의 「집구경가자스라」, 「산아지타령」, 「노랫가락」,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의 「달아달아밝은달아」, 「둥게소리」, 「노리개타령」, 「육자배기」, 「진주남강」 등이 녹음 당시 음원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