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1257
한자 民謠
영어공식명칭 Folk Song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집필자 김성식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지역민들 사이에 옛부터 구비전승으로 전해 내려오는 생활 속 노래.

[개설]

민요는 본래 전통시대에 민중들이 생활의 필요와 감정의 표출을 위해서 부른 일상의 노래이다. 계급적으로는 피지배계급의 노래이고, 시대적으로는 근대 이전 즉 전통시대의 노래이다. 민요는 노동하거나 의식을 치르거나 놀이를 하면서 부른다. 이 모든 활동은 민중들의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삶의 내용이다. 따라서 민요는 향토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특정 작곡가나 작사가가 존재하지 않으며, 기록이 아닌 구비전승되는 존재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우리가 근대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학문적 또는 제도적으로 민요를 수집하고 보존하는 대상은 전통시대의 민요에 국한되어 있다. 민요의 정체성에 가장 부합하기 때문이다.

[기록자료로 존재하는 완주군 민요]

전라북도 완주군 민요를 수록한 문헌 자료는 기관에서 발간한 책자와 개인 연구자가 발간한 자료집으로 구분된다. 당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이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북도편은 1969년에 조사해 1971년에 출간하였는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에서 조사한 민요 10여 곡이 소개되어 있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라북도편은 가장 이른 시기에 조사한 자료라는 가치를 지녔지만 사설만 수록했다는 점에서 자료가 빈약한 편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역점사업으로 추진한 한국구비문학대계사업의 일환으로, 1981년도에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2-전라북도 전주시·완주군편에서도 전라북도 완주군 민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조사한 곳은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장선리 당티마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 자포마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상고쟁이마을,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거인마을,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마을이다.

1996년에 완주군이 발간한 『완주군지』에도 전라북도 완주군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다만, 여기에 수록된 민요는 조사 지역, 조사 일시, 조사자, 가창자 등 구연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로 가사만 나열되어 있어서 자료적 가치를 언급할 수 없는 상태이다.

개인 연구자가 조사 및 출간한 자료로는 『전북의 민요』가 있다. 『전북의 민요』에는 1982년도에 조사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노동요, 유희요, 서사민요, 남도잡가 등 다양한 양식의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음원(音原)이 존재하는 완주군 민요]

전라북도 완주군의 민요는 여러 번에 걸쳐 조사, 수집되었는데, 기존 민요의 가사뿐 아니라 카세트테이프, CD 음반으로 노래를 수집한 자료가 존재한다. 가사뿐 아니라 음원[音源, sound source]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과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이다.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은 문화방송이 1991년도에 녹음한 민요 중 일부를 선별해 1995년에 CD와 해설집으로 발간한 자료이다.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민요해설집은 방송국 디지털 장비를 수반한 조사단이 각 마을을 찾아다니며 녹음해 음질상태가 뛰어날 뿐 아니라 조사내용이 자세하다.

왕실도서관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1980년대에 현장 조사하면서, 카세트테이프에 녹음한 자료를, 디지털로 재가공한 뒤에 온라인매체[http://yoksa.aks.ac.kr]로 서비스하고 있다. 음질 상태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문화방송보다 길게는 10년 이상 이른 시기에 조사 및 수집되어 전라북도 완주군 전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민요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다만, 이 자료 중 일부는 구체적인 마을 명칭이 빠져서 장소 미상인 음원이 상당수에 이르고, 가창자에 대한 구체적 정보가 미흡하다는 아쉬움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