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지도』「고산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261
한자 輿地圖高山縣
영어공식명칭 『Yeojido』「Gosan-h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789년연표보기~1795년연표보기 - 『여지도』 작성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여지도』 보물 제1592호로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 편찬자 미상의 3책으로 구성된 『여지도(輿地圖)』에 있는 전라도 고산현(高山縣) 지도.

[개설]

『여지도』는 보물 제1592호이며 3책으로 구성된 지도책이다. 1책에는 서구식 세계지도인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 조선전도인 아국총도(我國摠圖),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 지도인 북경도성삼가유시오단팔묘전도(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 중국 지도, 의주-북경 사이의 사신로(使臣路)를 그린 지도, 도성도, 조선·일본·유구[오키나와]를 합한 동부아시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2책에는 팔도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황해도-평안도-강원도-함경도의 순서로 그려져 있고, 3책에는 청나라의 광역행정단위인 16개의 성(省)이 성경성-직예성-산서성-섬서성-하남성-산동성-강남성-호광성-사천성-강소성-절강성-복건성-광동성-광서성-귀주성-운남성의 순서로 그려져 있다. 『여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2호로 지정되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여지도』 「고산현」 의 제작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데, 1첩에 수록된 아국총도와 2첩의 도별도에 수록된 지명을 통해 추정해 볼 때 1789년~1795년 사이에 제작된 지도로 보인다. 1777년(정조 1)에 신설된 함경도의 장진도호부가 표시되어 있고, 1789년(정조 12)에 양주에서 수원으로 옮긴 현륭원이 수원에 표시되어 있는 반면, 1795년 이후에 변화된 시흥(始興), 노성(魯城), 이원(利原) 등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아 그 이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도의 제작자와 제작처 및 제작시기가 표기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편찬 경위를 알 수 없지만 선명하고 화려한 색감과 정선된 글씨체, 지도첩에 수록된 지도들의 미려함을 볼 때 국가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형태]

『여지도』는 채색 필사본으로 3책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가로 21.6㎝, 세로 31.5㎝인데, 경기도 지도만 가로 59.9㎝, 세로 74.6㎝이다.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한양도성도 및 조선 군현지도, 조선전도, 그리고 천하도지도를 종합적으로 수록한 지도책이다. 먼저 제1책에는 한양도성도, 북경도성도, 의주에서 북경에 이르는 사신의 통행로를 그린 의주북경사행로(義州北京使行路), 조선전도, 중국지도, 천하도지도가 차례로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2책에는 그 형식과 내용이 정상기(鄭尙驥)의 『동국지도(東國地圖)』를 많이 따르고 있는 조선 도별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제3책에는 중국의 지방을 행정구역별로 나눈 16장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여지도』 「고산현」 은 3책으로 구성된 지도책이다. 1책에는 천하도지도, 아국총도, 북경도성삼가유시오단팔묘전도, 중국지도, 의주-북경 사신로 지도, 도성도, 동부아시아 지도 등이 수록되어 있다. 2책에는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황해도-평안도-강원도-함경도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3책에는 청나라의 광역행정단위인 16개의 성(省)인 성경성-직예성-산서성-섬서성-하남성-산동성-강남성-호광성-사천성-강소성-절강성-복건성-광동성-광서성-귀주성-운남성의 순서로 그려져 있다.

전라도 지도는 2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전라도 57관(官) 군현들의 위치와 도로, 산천 및 지리 정보를 자세히 담고 있다. 각 군현은 붉은 색 사각형 안에 군현명이 기록되어 있고 사각형의 크기와 형태[가로형, 세로형]에 따라 군현의 서열을 나타내고 있다. 즉 4목(牧)·6부(府)·11군(郡)·5령(令)·29감(監)·6역(驛)·17보(堡)를 나타내고 있다. 고산현은 여산, 익산, 전주, 용담, 금산, 옥산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주와 연결된 도로 사이에 위봉산성이 보인다. 또한 고산과 익산과 전주 사이에는 삼례역을 작게 표기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여지도』는 대축척의 군현지도를 제외한 국가에서 필요했던 모든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서양식 세계지도의 수록, 북경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정확하게 도화(圖化), 아국총도 등 조선전도는 당시 정확한 지도 중 하나였던 정상기의 『동국지도』를 추종, 청나라 행정구역을 사용, 한양과 북경의 공간을 상세하게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전라도 57관(官) 군현들의 위치와 도로, 산천 및 지리 정보를 자세히 담고 있어 조선시대 지리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