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부천 지역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민중들이 생활 현장에서 공동 창작하여 민족적 감수성을 담아 부르는 노래이다. 즉 어느 한 개인에 의해 순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는 생활의 반복 속에서 리듬과 음율이 구성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개인의 감정보다는 민족적 보편성에 입각한 정서가 표출된다. 민요가 어느 정도 파급되었는가에 따...
-
경기도 부천시에 전해 내려오는 민요 중 주로 노동할 때 부르던 노래. 노동요는 향토 민요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노래로 지역적 특색이 강한 노래이다. 노동요를 크게 나누어 보면, 모찌기 소리·모심기 소리·논매기 소리·타작 소리 등 논농사 소리와 김매기 소리·보리타작 소리 등 밭농사 소리로 구분되는 농업 노동요가 있고, 그물 싣는 소리·그물 당기는 소리·고기 푸는 소리...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 가운데 여성들의 생활과 한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래. 조선시대 여성들은 봉건 제도와 가부장제적인 가족 제도라는 이중의 굴레 속에서 살아야 했다. 그 안에서 부당한 대접과 구속을 받으며 생활했는데, 이러한 여성들이 일상 생활에서 느끼는 설움과 한탄을 노래로 담아낸 것이 부녀요이다. 여성들이 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를 부녀요에 포함시키는데,...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사람들이 여러 가지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유희요는 놀이를 질서 있게 진행시키며 놀이 자체를 흥겹게 하기 위해, 또는 승부에 이기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놀이는 노동 과정에서 육체에 스며든 노동의 리듬이 노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리듬에 매력을 느끼게 하고, 노동에서 휴식으로 이행한 뒤에도 그들의 육체 속에 스며들게 되어 생산적 휴식을 향...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 가운데 의례를 거행하면서 부르는 노래. 의식요는 통과 의례에 따라 부르는 소리로 개인적인 축원과 공동체적인 기원을 담은 노래이다. 의식요는 옛날 혼인할 때나 고을 원님의 행차 때에 사인교를 메고 가는 가마꾼들이 부르던 노래 또는 일종의 구호와 같은 소리와 상례에 부르던 「상여 소리」 등을 가리킨다. 가장 활발하게 거행되는 것이 장례 때에 불리...
-
경기도 부천 지역에 예부터 전승되는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이나 심리를 나타낸 노래. 전래 동요는 우리의 고유음계인 5음 음계(라·도·레·미·솔)의 단순한 가락에 실려 전승되어온 동요이다. 전래 동요의 가락은 쉽고 단순하기 때문에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쉽게 익힐 수 있고 부를 수 있다. 부천 지역에 구전되고 있는 전래 동요는 자연발생적인 동요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부천이 갑작스...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당제를 지낼 때 부르던 의식요. 「고사반」은 농악대가 정초에 마을 굿을 지낸 뒤 서낭신의 은혜가 각 집에 골고루 퍼져 한 해 동안 아무 탈 없이 평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지내던 집돌이에서 기원한 세시의식요(歲時儀式謠)이다. 「고사소리」라고도 불린다. 농악대는 집돌이를 하면서 지신밟기를 하는데, 이때 농악대 상쇠가 집안의 곳곳을 돌면서 「고사소리」를 구연한다....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널리 불리던 유희요. 「노랫가락」은 서울 및 중부 지방에서 많이 부르는 민요로, 원래는 서울의 만신들이 굿판에서 부르던 무가였다. 그러나 조선 말기 고종 때(1900년 전후) 대궐에 드나들던 만신들이 임금에게 들려 주기 위해서 5·8장단의 시조시를 초장·중장·종장의 3장으로 짜서 부르게 되면서 속가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현재는 서울보다는 경기도 지역을 대표하...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장례를 치를 때 부르던 노래. 「달구질 노래」는 무덤을 만들 때에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장례 절차 중 하관시간이 되면 시신을 땅에 묻게 되는데, 시신이 든 관을 묻기도 하고 탈관하여 묻기도 한다. 하관 의례를 마치면 회와 흙으로 광중을 메워가면서 ‘달구질’ 또는 ‘회다지기’를 한다. 묻을 때 흙에 석회가루를 섞기 때문에 회다지기라고도 불린다....
-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서 불리던 잡가의 하나. 「맹꽁이 타령」은 맹꽁이 세계를 여러 모로 재미있게 엮음으로써 인간 사회를 풍자한 노래이다. 부천 지역의 「맹꽁이 타령」은 가사가 경기민요 채록본 「맹꽁이 타령」과 비교해 일부만 전해지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1910년 이후에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경기 지역 「맹꽁이 타령」은 서울 청계천을 중심으로 서울 장안의 여러 곳을 갖다 대며...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른 여성 노동요. 「바느질 노래」와 같이 부천 지역 일원에서 구전되고 있는 민요는 노동요 중에서도 여성 노동요가 중심이 되고 있다. 다른 노동요나 비기능요가 거의 없는 이유는 서울, 인천과 같은 도시와 인접해 있어 일찍 소멸되거나 미처 채록하지 못한 때문인 것 같다. 「바느질 노래」는 여성 노동요 중에서도 작업 내용이 구체적으로 드...
-
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에서 논매기 때 부르는 노동요. 「방아 타령」은 후렴구가 ‘방아’로 된 소리를 뜻하며, 논매는 소리의 하위 유형 중 하나인 방아소리의 각 편에 해당한다. 논매는 소리에는 방아소리 유형, 상사소리 유형, 에헤야 유형, 단허리 유형, 메나리 유형 등이 하위 유형을 이룬다. 「방아 타령」의 선창 소리 가사는 중국의 풍경 따위를 읊은 한시 구절이나 자연을 노래한 세련된...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여성 노동요. 「베틀노래」는 「베틀가」라고도 하는데, 전승 분포가 넓다. 현전하는 노래의 자료는 약 40수로, 그 중에서 부천 지역에서 전승·채록된 노래 자료는 1수이다. 여성 노동요 중에는 직조에 관한 노래가 많다. 직조 작업은 역사상 여성의 주요 노동 행위였으며 여성의 일과 중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베틀...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상여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선소리꾼(상두꾼)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소리」에는 상여가 죽은 이의 집을 떠나면서 부르는 발인 또는 하직하는 소리, 상여를 들거나 내리며 부르는 소리,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부천 지역에서 채록한 「상여소리」는 장지까지 가며 부르는 소리이다. 「상여소...
-
경기도 부천시 내동에서 부녀자들이 고달픈 시집살이를 노래한 민요. 「시집살이 노래」는 전문적인 소리꾼이 아닌, 여성이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보편적 민요로 시집간 여자의 입장에서 불리는 내방요이다. 노래 내용을 살펴보면 생활고로부터 시작하여 먼 길에서 돌아온 남편을 이야기하고, 남편과 시집식구의 구박으로 이어져 끝내는 친정부모의 위세로 마무리되고 있다. 시집살이의 현실상이 그대로...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서 행해지는 장말도당굿에서 부르던 무가. 「어둥이 놀이」는 장말도당굿의 절차 중 뒷전이라는 굿거리에서 불리던 무가이다. 1990년 10월 10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된 장말도당굿은 중동에서 장씨 마을을 형성하면서 집안 대대로 조상신을 숭배하는 민속과 당골무(巫)가 가세하면서 지역적인 도당굿으로 발전해온 민속굿이다. 「어둥이 놀이」라고 일컬어지는 뒷전은...
-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요. 「창부 타령」은 원래 한강 이북의 무가(巫歌)의 일종으로 「노랫가락」과 함께 속화된 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창부’란 무당의 남편이면서 악가를 연주하는 사람을 뜻하는 ‘광대신’을 가리킨다. 광대신인 창부를 불러 재수가 있게 해달라고 비는 굿을 ‘창부굿’이라 하고, 마을의 수호신이 거낭과 창부를 함께 모시는 굿은 ‘창부서낭’이라고...
-
경기도 부천시에 전해지는 장말도당굿에서 무당이 부르는 노래. 경기도 부천시에는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된 장말도당굿이라고 하는 경기도의 대표적인 굿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현재도 매년 10월 중동 장말에서 재현된다. 장말은 현재의 중동 장말이며, 도당은 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당을 의미한다. 굿은 춤과 음악 그리고 소리로 구성되는데, 그 중에 무당이 굿을 하면서 부르...
-
경기도 부천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장말도당굿에서 불리는 무가. 장말도당굿은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된 경기 도당굿의 원류로 그 대표성을 인정받고 있는 부천시만의 독특한 민속행사이다. 장말도당굿은 부정굿→도당모셔오기→돌돌이→장문잡기→시루돋음→시루말→제석굿→터벌림→손굿→군웅굿→중굿→도당할아버지 굿→도당 모셔들이기→뒷전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군웅굿무가」는 장말도당굿의...
-
경기도 부천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장말도당굿에서 불리는 무가. 장말도당굿은 부정굿→도당모셔오기→돌돌이→장문잡기→시루돋음→시루말→제석굿→터벌림→손굿→군웅굿→중굿→도당할아버지 굿→도당 모셔들이기→뒷전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손굿무가」는 이 중에서 손굿이라는 과정에서 부르는 무가이다. 손굿은 손님, 즉 마마(천연두)신을 위한 거리로서 화랭이가 전담하는 거리이다. 손굿은 군웅굿과 함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