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0133 |
---|---|
영어음역 | Nonmaeneun Norae |
영어의미역 | Song of the Rice Paddy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최운식 |
[정의]
농부들이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던 노동요.
[형식]
「논매는 노래」는 다른 지방의 민요와 마찬가지로 초벌매기 소리, 두벌매기 소리, 세벌매기 소리가 있다. 이 소리는 공동 노작(勞作)을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으므로, 앞소리를 뒷소리가 받쳐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청주지역 「논매는 소리」를 곡조와 뒷소리 형태를 중심으로 나눠 보면, 방아소리, ‘잘하네’ 소리, ‘상사데’ 소리, ‘얼카산이야’ 소리, 기타 소리가 있다.
「논매는 노래」는 선소리꾼이 북을 치면서 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이 뒷소리를 부른다. 초벌매기와 두벌매기 때에는 주로 방아소리, ‘잘하네’ 소리, 상사데 소리, 얼카산이야를 부른다. 세벌매기를 할 때에는 “이 논자리를/ 어허야/ 잘 훔치자면/ 어허야/” 하고 빠르게 부르는 ‘어허야’ 소리를 부른다.
특별한 사설 없이 구음(口音)으로 되어 있는 ‘오오하 오호하 에 에기나 호호하’ 소리를 계속 반복해서 부르기도 한다. 이 소리는 일의 진행에 따라 느리게 시작하여 점점 빨라진다. 호미로 초벌을 맬 때와는 달리 논을 뜯을 때는 일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앞소리를 따로 메길 수가 없어서 이런 식으로 부른다고 한다.
[내용]
「논매는 노래」의 내용은 다른 지방의 민요와 마찬가지로 논매기 작업의 진행에 관한 것, 벼가 잘 자라서 많은 수확을 할 것에 대한 희망과 기대, 가정의 평안과 화목에 대한 바람, 자녀의 성장과 효행, 점심밥에 대한 기다림, 농부들의 고단한 신세 한탄, 늙음에 대한 탄식 등 아주 다양하다.
[현황]
요즈음에는 벼농사에서 논매기를 하지 않음에 따라 「논매는 노래」도 부르지 않아 잊혀져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