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주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016
한자 禳災呪術
영어음역 Yangjae jusul
영어의미역 occult art of expelling evil force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영진

[정의]

민간에서 재앙을 막거나 물리치기 위하여 행하는 주술.

[개설]

개인적 주술로 음식주술과 행위주술이 있다. 음식주술은 정월 보름 아침에 귀가 밝으라고 찬술을 먹는 ‘귀밝이술[耳明酒]’,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딱딱한 과실을 깨물어 뱉는 ‘부름[腫果]’, 동짓날에 먹는 팥죽 등이 있다.

행위주술은 설날 아침 대문에 닭과 호랑이 그림을 붙이는 ‘세화(歲畵)’, 용(龍)·호(虎)를 써 붙이는 ‘세서(歲書)’, 복이 오라고 문 위에 조리를 매다는 ‘복조리달기’, 입춘에 대문이나 출입문 위에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을 써 붙이는 ‘입춘서(立春書)’, 정월 보름에 다리가 튼튼해지라고 다리를 밟는 ‘다리밟기[踏橋]’, 남에게 더위를 파는 ‘더위팔기[賣暑]’, 연에 나쁜 액을 실어 날려보내는 ‘액날리기’, 빗질할 때 빠진 머리털을 모았다가 태우는 ‘액태우기’,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대문에 뿌려 잡귀를 쫓는 ‘팥죽뿌리기’가 있다.

이밖에 눈에 다래끼가 생길 때 몸 셋에 머리가 하나 달린 물고기 눈에 바늘을 꼽는 치료주술이 있다. 특히, 삼재(三災)가 든 사람은 정월 14일 밤에 짚으로 사람 모양을 만들고 그 속에 이름과 생년월일을 적은 종이와 돈을 넣은 ‘제웅’을 길바닥에 버리거나 몸 하나에 머리가 셋 달린 매그림을 부적으로 집에 붙인다.

[현황]

오늘날 청주에서 일반적인 양재주술은 부적이다. 부적은 원래 치자물을 드린 노란 종이에 붉은 주사로 한 장씩 그리거나 써야하는데, 부적판을 만들어 찍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거의 인쇄한 부적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 악귀를 쫓기 위하여 영업집 문 위에 소코뚜레나 염소 발톱을 매달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날은 자동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핸들에 명주실을 감거나 나무부적이나 종교적 상징물을 걸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한편 집단적 주술은 옛날 유행병이 돌 때 동민들이 디딜방아 공이를 마을 입구에 거꾸로 세워놓고 왼새끼를 둘러놓는 방역주술(防疫呪術)이 있었지만, 지금은 과학의 발달로 찾아보기 어렵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