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109 |
---|---|
한자 | 帝釋信仰 |
영어음역 | Jeseok sinang |
영어의미역 | Jeseok ("Heavenly Lords") Worship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김영진 |
[정의]
하늘을 다스리는 제석을 모시는 신앙.
[개설]
제석(帝釋)은 범어 Sakra devanam Indra-석가제환인타라(釋迦提桓因陀羅)의 한자말로 불교에서 수미산 꼭대기 희견성에 있으면서 32천을 다스리는 하늘의 신이다. 사찰에서는 제석을 ‘곡식의 신’이라 하여 곡간에 “제석환인지위(帝釋桓因之位)”라는 위패를 모셔놓고 쌀을 넣고 꺼낼 때마다 예배를 한다. 우리나라 민간에서는 일반적으로 조상신으로 이해하나 일부에서는 ‘제석삼신(帝釋三神)’이라 하여 자손을 보호하는 가신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형태]
청주에서 제석신앙은 단지에 쌀을 넣고 뚜껑을 덮은 제석단지나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바가지를 덮고 흰실로 동여맨 제석바가지를 모시는데, 특히 자손이 귀한 집에서는 조를 넣고 그 위에 헝겊이나 돈을 놓아 골방이나 부엌 한 구석에 모신다. 그리고 가을에 햇곡을 넣고 꺼낸 묵은 쌀로 떡을 해먹는데, 이 떡을 ‘복떡’이라 부르며 액을 막는다고 온 가족이 나누어 먹는다.
그리고 매년 시월 상달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무당을 불러 정기적으로 안택을 할 때는 제석 앞에 굿상을 차려놓고 ‘「제석풀이」’를 노래하며 제석굿을 하고, 경객(經客)을 불러 안택을 할 때는 ‘제석경(帝釋經)’을 읽으며 고사를 지낸다. 또 집안에 액운이 자주 생기면 ‘조상이 노한 것’이라 하여 별도로 조상을 달래는 제석굿을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