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747 |
---|---|
한자 | -壽衣- |
영어음역 | yundal suui matchugi |
영어의미역 | preparing garments for the dead in an intercalary month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임동철 |
[정의]
윤달에 맞추어 부모님의 수의(壽衣)를 미리 마련해놓는 풍속.
[개설]
윤달은 음력 일 년 열두 달 이외에 한 달이 더 불어난 어느 달을 말한다. 윤달이 들어 있는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하며, 보통 3년만에 한 해씩 윤달을 둔다. 윤달은 정상적인 달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흔히 ‘공달·덤달·여벌달’이라고도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이 때를 이용하여 유다른 일들을 치른다.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털이 안 난다”는 속담처럼 신의 노여움을 살까 두려워 꺼려하던 일들을 처리한다.
예컨대 집 수리, 이사, 선묘 단장, 수의 만들기 등 평상시 금했던 일들을 적극 처리한다. 수의를 마련할 때에는, 그 과정에서 박음질을 금할뿐더러 실의 매듭도 짓지 않는다. 박음질을 하게 되면 자손이 번성은커녕 줄어들게 됨을 면치 못하며, 실을 매듭지으면 자손이 끊어지게 된다는 속신이 작용하고 있다.
[관련기록]
윤달의 풍속을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 확인할 수 있다. “俗宜嫁娶又宜裁壽衣 百事不忌(결혼하기에 좋고 수의 만드는 데 좋다. 모든 일을 꺼리지 않는다)”며 기록하고 있다.
[현황]
윤달의 풍속은 전국적으로 광포하고 있는데, 청주지역에서는 윤달을 흔히 ‘공짜달’, ‘썩은달’, ‘해가 없는 달’ 등으로 부르며, 이 때를 기해 수의를 만들고 묘를 이장하는 등의 일을 속속 처리한다. 예컨대, 상당구 내덕동에 거주하는 안응락(남, 1941년 충북 영동군 출생)의 경우, 모친이 위암 선고를 받자 당해 년 윤달에 서둘러 수의를 장만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