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210
한자 大方廣佛華嚴經疏卷四十八六十四八十三
영어의미역 Commentary on the Flower Garland Sūtra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866[직지대로 713]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5월 7일연표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보물 제140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보물 재지정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저·편자 징관(澄觀)|정원(淨源)
권수 3권
판종 목판인쇄본
간행처 교장도감(敎藏都監)
소장처 청주고인쇄박물관

[정의]

대승경전인 『화엄경(華嚴經)』에 당나라 징관(澄觀)이 주를 달고 송나라 정원(淨源)이 주에 해설을 붙인 고려시대의 불경. 절첩본(折帖本) 형태의 3권 책(3冊).

[개설]

중국 당나라 징관의 『화엄경소(華嚴經疏)』에 대하여 송(宋)의 승려학자인 정원이 주해(註解)한 책으로서, 1087년(선종 4)에 송나라 상인에 의하여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에게 전달되고, 전달된 송본(宋本)을 바탕책(底本)으로 하여 고려에서 다시 목판을 인쇄한 것으로, 그 중 권 제48, 제64, 제83(3冊)이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4년 5월 7일 보물 제140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간행경위]

대각국사 의천(義天)에 의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과 거란 및 일본의 불교학자들이 『대장경(大藏經)』에 관하여 논술한 논문(章疏)들을 수합(收合)하여 『대장경(大藏經)』에 버금가는 『속장경(續藏經)』을 만들기(雕造) 위한 과정에서, 중국으로부터 수집된 『화엄경소(華嚴經疏)』를 대장도감에서 목판으로 인쇄하였다.

[형태]

목판(木板)인쇄 절첩본(折帖本). 표지: ‘大方廣佛華嚴經疏’ 금니(金泥) 서사(書寫). 본문: 닥종이(楮紙). 크기: 32.3(세로)×10.8(가로)㎝. 4행(行)15자(字), 3권(권 제48, 제64, 제83) 3책.

[내용]

송(宋)나라의 승려 정원이 1087년에 송나라 상인(商人) 서전(徐戩)을 통하여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에게 전달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華嚴經疏: 『화엄경(華嚴經)』에 관한 논문)를 고려의 교장도감(敎藏都監)[『속장경(續藏經)』을 제작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관]에서 다시 목판으로 인쇄한 책이다.

[의의와 평가]

11세기 말에 수입된 『화엄경소(華嚴經疏)』를 고려조에서 목판으로 인쇄하고, 인쇄된 이 책을 1441년(세종 23)에 일본에 전해줌으로써,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중국, 한국, 일본에 걸친 문화교류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본문]

These are instructive texts on Hwaeomgyeong (Avatamsaka Sutra), one of the sacred books of Mahayana Buddhism, written by Jingyuan of the Song Dynasty. They contain the explanations of the annotations to Hwaeomgyeong, which were written by Chengguan of the Tang Dynasty. The central concept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 or commonly known as Hwaeomgyeong, is that all living beings and Buddha are not separate, but one. Hwaeomgyeong is the main Sutra of the Avatamsaka sect in Korea, and together with the Myobeomnyeonhwagyeong (Saddharma-Pundarika Sutra),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in Korea. These books were printed from wood-printing blocks that were sent by Jingyuan to Buddhist monk Uicheon Daegakguksa via a merchant, Seojeon. A total of 120 volumes were printed, and among them these are volumes 48, 64 and 83. They are preserved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The cover page is made of paper dyed with the sap of oak trees, and the titles on the cover and inside are written in gold colors. There is a single border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age, and boundary lines divide the columns. There are 15 characters in each column. Each page is folded five times, and at the folded places, the title of the book, volume and chapter are printed, apparently to allow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books. The paper is made of mulberry, and is a high quality Korean paper that underwent a special process called dochim (smoothing layers of paper that have been pasted by beating them on a fulling block) so as to add luster and prevent the ink from spreading on the paper. At the end of volume 83 is an inscription that reads “the 49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 31st year of Emperor Jiajing of the Ming Dynasty (1552)…” which appears to be a record of ownership since it could not be the date of print. The characters are in the calligraphic style of famous Chinese calligrapher Ouyang Xun, which was very popular in woodblock prints of the Song Dynasty. The strokes of the Chinese characters are clear and distinct suggesting that the books were printed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These Buddhist scriptures are of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s the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Uicheon’s collection of Buddhist literature, and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Song and Goryeo Dynasties and Japan.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