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288
한자 儒敎
영어음역 Yugyo
영어의미역 Confucianism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해준

[정의]

공자(孔子)를 시조(始祖)로 하며 성리학, 주자학의 정신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상의 변천사, 인물, 유적 모두를 포괄하는 용어.

[유교의 정착과정]

유교가 우리나라에서 불교에 대항하는 새로운 이념의 철학사상으로 부흥되는 것은 고려 귀족사회의 모순이 첨예화되는 13세기 후반부터이다.

지방 중소지주출신의 관료,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개혁집단은 위화도회군 이후 조선 태조(太祖)를 도와 조선왕조를 개창하였다. 조선은 건국초기부터 척불숭유(斥佛崇儒) 정책을 펼쳐 주자학의 불교비판, 민본사상, 중화주의를 이념적 무기로 활용하여 토지제도 개혁, 불교비판, 친명 외교 등을 주장하였다.

조선시대에 와서 유교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정치·사회·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그 영향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었다. 조선 초기 유학은 고려사회의 정신적 기반이었던 불교적 세계관을 붕괴시키고, 주자학적 세계관을 확립하며,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신분질서와 도덕규범을 확립한다.

15세기에 이르러 주자학의 명분론, 절의론은 길재로부터 김숙자(金叔滋)·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로 이어지는 사림파(士林派)에 의하여 더욱 발전한다. 사림파는 성종 때부터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조광조(趙光祖)[1482~1519]는 도학정치와 향촌자치 추진으로 괄목할 활동을 벌이다가 훈구파의 반격을 받아 기묘사화로 침몰하였다.

기묘사화 이후로 정계진출을 단념한 사림들은 산림(山林)에서 학문에 전심하는 풍조가 일어났으며, 이후 조선유학은 이황(李滉)기대승,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와 성혼(成渾) 간의 사단칠정논쟁을 거쳐 16세기에 학문적으로 절정을 이루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실천적 의리사상으로 표출되어 조헌(趙憲)[1544~1592]·곽재우(郭再祐)·고경명(高敬命)·김천일(金千鎰) 같은 충군애국의 의병활동이 연이어졌고, 청나라와 굴욕적인 강화를 한 뒤에는 송시열 등이 주축이 되어 북벌론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리학의 전통은 조선 후기와 최근세에 있어 외세를 배격하고 국난극복에 앞장섰던 척사위정파로 면면히 계승되었다.

[호서예학의 발달과 당쟁]

한편, 학파와 당파가 성립됨에 따라 성리학은 보수화·교조화되어 양분되는 경향을 보였고, 17세기 중엽 이후로 성리학은 사상적 경직성을 드러내게 되었다. 왜란·호란을 겪고 난 뒤에는 예론 공방이 가속되면서 예학이 성장하는데 호서출신의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 송시열, 송준길(宋浚吉), 이유태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이 시기에 동-서인, 노론과 소론, 남인과 북인의 당쟁이 치열해 지면서 유학은 사회적 지도력을 크게 상실하였다. 한편 송시열의 사후 그 학통은 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이간(李柬) 등 호락(湖洛) 논쟁이 일어나 이후 성리학계의 주요 논쟁점이 되었다.

[청주의 유교 발전]

청주지역의 유교발전은 이러한 유교발전사에서 시대마다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발전하였다. 고려말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이 이초(彛初)의 옥(이초윤이의 무고(誣告)에서 비롯된 옥사)에 연루되어 청주옥에 갇혔던 사건과 강수 박훈(朴薰)[1484~1540], 김정, 한충 같은 저명 사림의 배출과 활약으로 유교발전의 탯줄이 형성되었다.

여기에 율곡(栗谷) 이이서원향약 시행, 왜란과 호란중의 의병활동, 신항서원 등 괄목할 여러 서원의 건립을 통하여 보듯이 호서사림의 성장기에 청주목 지역은 서인-노론계 인맥의 활동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17세기 후반부터는 경세치용·이용후생·실사구시 등을 부르짖는 실학사상이 대두하였다. 실학은 당시 정치·경제·사회 등의 영역에서 당면과제로 제기되고 있던 현실문제에 대해 관심의 초점을 두었다. 그런가하면 개화기와 일제의 국권 침탈기에는 척사위정과 항일 의병활동으로 지성적 본분을 다하였다.

화양동 서원의 건립과 영향력 문제, 영조조 무신란에서 청주세력의 참여와 갈등과 함께 18세기와 19세기에는 동학농민전쟁과 유생의병, 항일민족운동에서의 유교 역할은 매우 주목되며, 이러한 점들은 역시 청주지역이 호서지역 사족활동의 주요 거점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서원은 유생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지역과 연고가 깊은 선현을 제사하는 사우와 학문을 연마하는 강당으로 구성되었다.

청주의 대표적인 서원인 상당구 용정동 신항서원은 1570년(선조 3)에 유정서원으로 창건되었다가 1660년(현종 원년)에 사액을 받아 이름을 신항서원이라고 개칭하였는데 유림에 의해 계속 중건되어 오다가 1871년(고종 8)에 서원훼철령으로 폐하는 비운을 겪었다. 이후 1892년에 복구가 허가되어 1904년에 복구되고 1957년 지방유지들에 의해 재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대의 유교발전 과제]

현대 산업사회가 무한경쟁으로 인하여 혼돈과 도덕 불감증이 확대될수록, 유교의 정신과 지성사적 전통은 오히려 강조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를 위하여 현재의 유교가 극복할 과제도 많다. 가문과 특정인물 선양 중심의 경쟁적 경향이라든가 권위적 유교의 퇴영적 확산은 그 대표적인 것이고, 향후 이들 유교에 대한 연구에서도 극복될 과제가 많다. 예컨대 조선 중기~조선 후기의 조선예학과 성리학의 주류를 형성했던 호서사림과 유교에 대한 연구는 첫째 조선 전기 호서지역 학맥에 대한 정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둘째 기왕의 연구가 17세기 몇몇 특정 인물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 또 그에 따라 이들의 학문적 계보와 원류에 대한 이해도 매우 축소·제한되었다고 평가된다. 그리고 연구 주제가 주로 철학(경학) 분야나 예론 분야에 집중되며 사회경제사 자료의 발굴도 미진하여 호서 학맥의 형성과 발전을 총체적으로 논의하기에 부족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