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 관인(文武 官人)
-
고려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이자 전주최씨·완산최씨의 시조. 최순작(崔純爵)[?~1108]은 전주최씨 문열공파와 완산최씨의 시조로 고려 초의 평장사(平章事) 완산백(完州伯) 최언위(崔彦僞)의 후손으로 알려졌다. 문정공(文貞公) 최재(崔宰)의 6대조이자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의 7대조이다. 최순작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했으며 고려 정종(靖宗)...
-
고려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최아(崔阿)는 전주최씨 문성공파 시조이다. 전주최씨는 크게 4계파가 있다. 『전주최씨 상고사』에 의하면 최아의 상계에 대한 논란이 많으나, 여러 고증 자료에 의해 최입평의 아들로 확인되었다고 하지만 아직도 이론은 있다. 최아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형지(衡之)이다. 아들 4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최용생으로 문과...
-
고려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관인. 최용각(崔龍角)은 전주최씨 문성공파 시조 최아의 둘째 아들로 대호군공파 중시조이다. 최용각의 아버지는 전주최씨 문성공파 시조인 최아이다. 최아에게는 4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최용각은 둘째이다. 최용각의 아들은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한 최철(崔哲)이고 부인 정경부인 허씨(許氏)는 중호군(中護軍) 허선(許瑄)의 딸이자 지...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강삼(姜參)[1452~1504]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종도(宗道), 호는 송계(松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위(姜渭), 할아버지는 강보주(姜輔周), 아버지는 강응(姜鷹)이다. 외할아버지는 성주배씨 배중문(裵仲文)이다. 장인은 문화유씨 유빈(柳濱)과 전주류씨 유선(柳詵)이다. 강삼은 『문과방목』에 거주지가 전라북도...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관인. 강숭덕(姜崇德)[1479~?]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인보(仁甫)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강안복(姜安福), 할아버지는 강이성(姜利誠), 아버지는 강황(姜璜)이다. 외할아버지는 양성이씨 이돈인(李惇仁)이다. 장인은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직제학 등을 역임한 칠원윤씨 윤석보(尹碩輔)[?~1505]이다. 강숭덕은 『문과방목』...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관인. 김권(金權)의 본관은 통천(通川), 자는 의숙(宜叔)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군수 김중령(金仲齡), 할아버지는 부사를 지낸 김경(金冏), 아버지는 김석필(金碩弼)이다. 장인은 내금위 오경문(吳敬文)이다. 아들은 1534년(중종 29) 갑오 식년시 진사시에 합격한 김득개(金得凱)[생몰년 미상]와 1558년(명종 13) 무오 식년...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겸 관료. 김귀수(金龜壽)의 자는 서옹(瑞翁), 호는 창계(蒼溪),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고려 말의 학자 겸 정치가로서 문과에 급제한 문정공(文正公) 김태현(金台鉉)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김재(金滓), 증조할아버지는 김순원(金順元), 할아버지는 김일창(金日昌), 아버지는 어모장군 행임치진첨절제사(禦侮將軍行臨淄鎭僉節制使)를...
-
조선 초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겸 관인. 김맹(金孟)[1410~1483]의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남계(南溪), 자는 자진(子進)이다. 전주(全州)에서 김극일(金克一)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김서(金湑), 증조할아버지는 김항(金伉), 외할아버지는 이간(李暕), 장인은 정중건(鄭仲虔)과 이양(李讓)이며, 동생은 김용(金勇), 아들은 김준손(金駿孫), 김...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문신. 김빙(金憑)[1549~1590]은 통천김씨이다. 통천김씨는 마의태자의 아들 통천군 김교를 시조로 하며, 중시조 김원등(金遠登)의 손자 김여산(金如山), 김중령(金仲齡), 김중복(金仲福)을 각각 진산교도공파, 군수공파, 전직공파 파조로 삼아 대를 이었다. 김빙의 본관은 통천(通川), 자는 경중(敬中)이다. 중시조...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 세거한 관인. 김석필(金碩弼)의 아버지는 김경(金冏), 할아버지는 김중령(金仲齡), 증조할아버지는 김호(金浩), 고조할아버지는 중시조 김원등(金遠登)으로 『통천김씨족보 초간본』[1701]에 기록되어 있다. 김석필의 증조할아버지 김호는 『조선문과방목』에 1419년(세종 1) 기해 증광시 동진사 20위로 급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호남읍지...
-
조선 중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문관. 김여련(金汝鍊)[1556~1592]의 자는 이정(而正), 호는 서암(西岩)이다. 통천김씨 중시조 김원등(金遠燈)의 10세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김환길(金丸吉), 증조할아버지는 김시보(金時補), 할아버지는 김개근(金漑根), 아버지는 성균생원, 합천교도를 지낸 남계(南溪) 김진(金瑱)이다. 김여련의 가계는 대대로 효행이 지극해...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거주한 관인. 김중령(金仲齡)의 아버지 김호(金浩)는 1414년(태종 14) 갑오 식년시에 생원 1등, 1419년(태종 19) 기해 증광시에 동진사 20위로 등과했으며, 할아버지 김원등은 통천김씨 중시조로 광정대부판도판서를 역임했다. 김중령의 아들 김경(金冏)은 『여지도서』 완산지 권하 음사(蔭仕) 항에 부사를 역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에 있는 구호서원에 배향된 문신. 박은(朴誾)[1370~1422]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앙지(仰止), 호는 조은(釣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윤무(朴允茂), 할아버지는 밀직부사 박수(朴秀)이며, 아버지는 고려 말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낸 박상충(朴尙衷)이며, 어머니는 한산인(韓山人) 문효공(文孝公) 이곡(李穀)의 딸이...
-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심효생(沈孝生)[1349~1398]의 본관은 부유(富有), 시호는 부성군(富城君)이다. 할아버지는 심종숙(沈宗淑), 아버지는 지금주사(知錦州事)를 지낸 심인립(沈仁立)이다. 외할아버지는 우주황씨 황문용(黃文用)이다. 황문용의 아들이 고려시대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지낸 황거중(黃居中)이다. 장인은 전주유씨 유습(柳濕)...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서봉리에 무덤이 있는 문인. 김자완(金自玩)[1425~1457]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아버지는 호조참의(戶曹參議) 김중서(金仲舒), 할아버지는 성천부사(成川府使) 김명리(金明理), 증조할아버지는 국자감대사성(國子監大司成)을 지낸 김구용(金九容), 고조할아버지는 삼중대광평장사상락군(三重大匡平章事上洛軍) 김앙(金昻)이다. 김자완은 고려...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구호서원에 배향된 문신. 박소(朴紹)[1493~1534]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언주(彦胄), 호는 야천(冶川)이다. 박병문(朴秉文)의 증손자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박임종(朴林宗)이고, 아버지는 이조정랑 박조년(朴兆年)이며, 어머니는 현감 윤자선(尹孜善)의 딸이다. 부인 남양홍씨 사이에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 박응천(朴...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일임리에 무덤이 있는 관인. 오몽을(吳蒙乙)[?~1398]의 본관은 보성(寶城)이다. 보성오씨는 윤관과 함께 여진족을 토벌해서 동북9성을 개척하는 데 공을 세운 오연총(吳延寵)을 시조로 한다. 오몽을은 중시조 오현필(吳賢弼)의 11대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오예충(吳禮忠)이며 예부상서를 지냈고, 증조할아버지는 오윤정(吳允貞)으로 문하찬성사...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겸 관료. 유헌(柳軒)[1462~1506]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여(伯輿), 호는 낙봉(駱峯)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유계장(柳季漳), 어머니는 풍양조씨(豊陽趙氏), 할아버지는 순창군수(淳昌郡守)를 지낸 유말손(柳末孫), 증조할아버지는 영흥부사(永興府使)를 지낸 유빈(柳濱), 부인은 전주이씨로 정종대왕의...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겸 관료. 이계맹(李繼孟)[1458~1523]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자는 희순(希醇), 호는 묵곡(墨谷) 또는 묵암(墨巖)이다. 태사(太師) 이도(李棹)의 후손이다. 부여감무(扶餘監務) 이의(李宜)의 증손자이며, 현감(縣監)을 지낸 이대정(李大種)의 손자요, 이영(李潁)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생원(生員) 채소명(蔡紹明)의 딸이...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구호서원에 배향된 문신. 이성중(李誠中)[1330~1411]의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서암(恕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핵(李翮), 할아버지는 이세기(李世基), 아버지는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이청(李蒨)이며, 어머니는 순창박씨이다. 이경중(李敬中), 이배중(李培中), 이달충(李達衷)과 형제다. 부인은 창원인(昌原人) 황하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의병장. 이주(李柱)[1562~1594]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거느리고 평양성전투에 참여하였고, 진도(珍島)에서 이충범(李忠範)과 서몽린(徐夢獜) 등의 모반을 진압하였다. 이주의 본관은 전주(全州), 출생지는 전주, 자는 방언(邦彦), 호는 한촌(寒村)이다. 세조의 셋째 아들 덕원군(德原君) 이서(李曙)의...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최덕지(崔德之)[1384~1455]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가구(可久), 호는 연촌(烟村)·존양(存養)의다. 고조할아버지는 최아(崔阿), 증조할아버지는 최용봉(崔龍鳳), 할아버지는 최을인(崔乙仁)이고, 아버지는 참의 최담(崔霮)이다. 어머니는 박인부(朴仁夫)의 딸이고, 외할아버지는 경덕재(經德齋) 박종수(朴從壽)이다. 첫째...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최득지(崔得之)[1379~1455]의 고조할아버지는 최아(崔阿), 증조할아버지는 최용봉(崔龍鳳), 할아버지는 최을인(崔乙仁)이고, 아버지는 참의 최담(崔霮)이다. 어머니는 박인부(朴仁夫)의 딸이고, 외할아버지는 경덕재(經德齋) 박종수(朴從壽)이다. 첫째 형은 최광지, 둘째 형은 최직지로 둘 다 문과에 급제해서 집현전직제학을 지냈다...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문인. 최수민(崔秀民)은 완주백(完州伯)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의 15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감찰대부(監察大夫)를 지낸 문정공(文定公) 최재(崔宰)이고, 할아버지는 개국원종공신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이며, 아버지는 통훈대부감무공(監務公) 최사흥(崔士興)이다. 아들은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최희보(崔希輔)이고, 사위는...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최여관(崔汝寬)은 만육(晩六) 최양(崔瀁)의 손자로 전주최씨 문충공 자손 현감공파(縣監公派)의 파시조이다. 최여관의 증조할아버지는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최지(崔贄), 할아버지는 대제학(大提學) 만육(晩六) 최양(崔瀁)이며, 아버지는 이조정랑(吏曹正郞) 최진명(崔進明)이고, 형은 최여정(崔汝貞)이다. 최여관은 두 아들을...
-
조선 초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문신. 황거중(黃居中)은 고려 말 이성계를 도와 황산대첩에서 활약하였으며, 조선 개국을 도와 원종공신이 되었다. 황거중의 본관은 우주(紆州), 자는 경덕(敬德), 호는 사가(四佳), 고려 중윤(中尹) 황민보(黃旻甫)의 10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황석(黃碩), 할아버지는 황공로(黃公老)이다. 아버지는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출신의 관인. 구소(具瀟)[1588~1658]의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자회(子晦)이다. 능성구씨의 시조는 구존유(具存裕)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 구세영(具世英), 할아버지는 무과에 급제해서 우부장을 지낸 구담(具曇), 아버지는 예산현감을 지낸 구대우(具大佑)이다. 외할아버지는 전의이씨 통덕랑 이서(李恕)이다. 장인은 완산이씨 공...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묘소가 있는 관인. 구정려(具廷呂)의 본관은 창원(昌原), 호는 봉암(鳳巖)이며 구종길(具宗吉)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구병(具柄)으로 진사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구환(具煥)으로 진사이고, 할아버지는 구사신(具思愼)으로 생원이며, 아버지는 구원(具愿)으로 진사이다. 외할아버지는 하동정씨 정인겸(鄭仁兼)이다. 부인은 해주오씨 오성관(吳...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출신의 학자. 박해관(朴海寬)[1824~1901]의 본관은 순천(順天)이고, 자는 경흠(景欽)이며, 호는 회당(悔堂) 또는 봉계(鳳溪)이다. 박숙정(朴淑貞)의 후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박태윤(朴太胤), 증조할아버지는 사복시정에 증직된 박홍문(朴弘文), 할아버지는 이조참의에 증직된 박귀엽(朴龜曄), 아버지는 이조참판에 증직된 박능현(朴能鉉)...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출신의 문신. 송성룡(宋成龍)[1780~?]의 자는 원서(元瑞),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아버지는 송경한(宋景漢), 할아버지는 송항진(宋恒鎭), 증조할아버지는 송재후(宋載厚), 외할아버지는 의금부도사(義禁府道事)를 지낸 김필태(金必泰)이다. 그리고 장인은 국사영(鞠思永)이다. 송성룡은 33세 때인 1812년(순조 12) 정시...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관. 심수현(沈壽賢)[1663~1736]의 자는 기숙(耆叔), 호는 지산(止山)이며,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심억(沈檍), 할아버지는 심약한(沈若漢)이고, 아버지는 응교(應敎)를 지낸 심유(沈濡),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조석윤(趙錫胤)의 딸이다. 장인은 이만겸(李萬謙)과 안후진(安後震) 등 두 사람이었다. 심...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학자 겸 관료. 심원빈(沈遠彬)[1850~?]의 자는 경빈(景彬),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양아버지는 심노문(沈魯文), 아버지는 심노숙(沈魯肅), 할아버지는 심인모(沈仁模), 증조할아버지는 심내영(沈來永)이다. 그리고 장인은 서준순(徐準淳), 외할아버지는 윤좌열(尹佐烈)이다. 심원빈은 1850년(철종 1) 전라북도 완주군 고...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지역 출신의 문신. 양곡(梁穀)[1585~1618]의 자는 종학(種學),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아버지는 1597년(선조 30) 문과 급제자로서 정랑(正郞)을 지낸 양몽열(梁夢說), 할아버지는 양국량(梁國樑), 증조할아버지는 양세준(梁世準), 장인는 황진(黃津)이다. 양곡은 1585년(선조 18)에 전주에서 태어났으며, 30세 때인...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출신의 관인. 오경린(吳景麟)[1846~1915]의 자는 응서(應瑞), 호는 운치(雲痴), 본관은 낙안(樂安)이다. 아버지는 오도상(吳道常), 아들은 오영익(吳寧翼)이다. 오경린은 1846년(헌종 12)에 태어났으며, 37세 때인 1882년(고종 19) 임오 증광시(壬午增廣試)의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다. 오경린의 아버지 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오명희(吳命禧)[1655~1719]의 자는 천우(天佑)이고, 본관은 보성(寶城)이다. 아버지는 오시간(吳時幹), 할아버지는 오지인(吳止仁), 증조할아버지는 오순길(吳舜吉), 외할아버지는 정지(鄭祉), 장인은 김취려(金就礪)이다. 오명희는 오늘날의 완주군 지역에서 1655년(효종 5)에 태어났다. 37세 때인 1691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현 출신의 문신. 이만첨(李萬瞻)[1689~1731]의 자는 백숭(伯崇),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아버지는 이필(李泌), 할아버지는 이귀징(李龜徵), 증조할아버지는 이완(李衤+完)이다. 외할아버지는 유명하(柳命河), 장인은 박정(朴涏)과 구익형(具益亨) 두 사람이다. 이만첨은 1689년(숙종 15)에 고산현(高山縣), 즉 오늘날...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이신회(李身晦)[1725~1799]의 호는 가촌(佳村), 자는 회지(晦之)이며,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전의이씨는 완주군 구이면에 세거하던 씨족이었다. 아버지는 이성익(李聖榏), 할아버지는 이하제(李夏濟), 증조할아버지는 이기전(李基全)이다. 외할아버지는 김일좌(金日佐), 장인은 남일량(南一陽)이다. 이신회는 1725...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이주현(李周顯)[1743~?]의 자는 성모(聖謀), 본관은 부평(富平)이다. 아버지는 이성운(李星運), 할아버지는 이삼원(李三元), 증조할아버지는 이정석(李廷奭)이며, 외할아버지는 한세증(韓世增), 장인은 김려(金礪)와 유진한(柳軫漢)이다. 이주현은 1743년(영조 19)에 완주군에서 태어났으며, 1772년(영조 48)...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임윤성(任尹聖)[1547~1608]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상경(商卿), 호는 숙계(淑溪)이다. 고려시대 문하시중 임덕생(任德生)의 후손으로 임덕생의 손자, 임형(任衡)의 현손, 임천수(任千壽)의 아들이다. 임윤성은 1547년(명종 2) 고산현 주남동(周南洞)에서 후릉참봉을 지낸 임천수(任千壽)의 아들로 태어났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정운붕(鄭雲鵬)[1563~?]은 장흥정씨의 시조(始祖)가 되는 인물이다. 장흥정씨는 씨족 전체 구성원이 2015년 기준 26명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희성(希姓) 가운데 하나이다. 정운붕의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만리(萬里)이다. 아버지는 정응진(鄭應辰)이다. 정운붕은 1563년(명종18)에 태어났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현 출신의 문신. 정인한(鄭寅漢)[1851~?]의 자는 인국(仁國)이며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아버지는 정귀조(鄭貴朝)이다. 동생은 정인풍(鄭寅豊), 정인훈(鄭寅勳), 정인수(鄭寅洙), 정인상(鄭寅祥)이다. 정인한은 1851년(철종 2) 전라도 고산현(高山縣)[현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서 김제군수(金堤郡守)를 지낸 정귀조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무인. 최분손(崔芬孫)[1542~162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할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오위장(五衛將)[종2품관] 최건신(崔建臣)이며,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종4품] 최영서(崔令瑞)이다. 최분손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정3품관],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등의 벼슬을 역임했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문인. 최상성(崔尙聖)[1584~?]의 자는 이화(而化)이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완주백(完州伯)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의 후손으로 진사(進士)를 지낸 최봉(崔奉)의 아들이다. 부인은 통천김씨(通川金氏)로 생원(生員) 김황(金況)의 딸이고, 할아버지는 참봉 최익한(崔翼漢)이고 외할아버지는 진주소씨(晋州蘇氏) 소순신(蘇舜...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인. 최일관(崔日觀)[1625~1670]의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태지(泰之)이다. 완산백(完山伯) 문열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의 후손이다.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최잠(崔岑)의 손자이고, 최상제(崔尙悌)의 계자(繼子)로 생부(生父)는 최상성(崔尙聖)이다. 부인은 연안이씨(延安李氏)로 아버지는 이돈중(李惇中)이고 할아버지는...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홍술해(洪述海)[1722~1777]의 자는 중선(仲善)이고,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수제(洪受濟), 할아버지는 대사간(大司諫) 홍우전(洪禹傳), 아버지는 이조판서 홍계희(洪啓禧), 양아버지는 큰아버지 홍계손(洪啓孫), 어머니는 김취로(金取魯)의 딸이다. 홍술해는 1750년(영조 26) 진사시에 합격하고...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문신. 홍우전(洪禹傳)[1663~1728]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집중(執中), 호는 구만(龜灣)이다. 홍명원(洪命元)의 증손자로, 할아버지는 홍처심(洪處深)이고, 아버지는 정랑 홍수제(洪受濟)이다. 외할아버지는 구치중(具致中), 아들은 홍계희(洪啓禧), 손자는 홍지해(洪趾海)와 홍술해(洪述海)이다. 홍우전은 송시열(宋時...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출신의 무신. 류습(柳濕)[1367~1439]의 본관은 고흥(高興)이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아버지는 고려 말의 시중(侍中) 류탁(柳擢), 아들은 류지(柳漬)이다. 류습은 고려 말 음직으로 관에 들어가 합문인진사(閤門引進使)가 되었고, 조선 개국 후 과의상장군(果毅上將軍)을 지냈다. 류습은 태종 대에 들어와서 국왕의 신임...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무인. 송호(宋湖)[?~1592]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송공복(宋公復)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송계상(宋繼商)이다. 송호는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伊西面) 출신으로, 조선 초기에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송공복의 후손이다. 송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충의심이 투철하여 지용(智勇)을 겸비(兼備)했다는 소리를 들었다. 1592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출신의 문인. 이경유(李慶裕)[1705~1755]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선(子善)으로 완주군 고산면 율곡리(完州郡 高山面 栗谷里) 출신이다. 단성익조 좌명공신 광정대부 정당문학 예문관 대제학 지춘추관사 상호군(端誠翊祚佐命功臣匡靖大夫政堂文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事上護軍) 황강(黃岡) 이문정(李文挺)의 14세손이다. 이문정은 고려 말...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무인. 이영남(李英男)[1571~1598]은 완주군 구이면 출신의 조선 전기 무인이다. 양성이씨 문중에서는 이순신과 함께 한 이영남을 양성이씨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영남의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자호(子豪), 호는 효악(效岳)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이중희(李仲禧)이며, 증조할아버지는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좌랑을 역임...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출신의 무신. 장응추(張應秋)[1566~1593]의 본관은 결성(結城)이고, 고산현[현 완주군 화산면 화월리] 출신이다. 결성군(結城君) 장하(張夏)의 후손이며, 손자는 충익위(忠翊衛) 장운봉(張雲鳳)이다. 14세 손자가 장인봉(張仁鳳)이다. 장응추는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訓練院主簿)와 충익위장(忠翊衛將)을 지냈다. 15...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무신. 조여충(趙汝忠)[?~1593]의 본관은 평양(平壤)이며, 고산현[현 완주군 고산면] 출신이다. 삼중대광(三重大匡) 조인규(趙仁規)의 후손이며, 병사(兵使) 조을정(趙乙鼎)의 현손이다. 조여충은 평소 말과 활을 익혀 무과에 급제하여 주부(主簿)[종6품]를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초기에 일본군의...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무신. 최잠(崔潛)[1560~1597]은 본관이 화순(和順), 자는 사강(士剛)으로 완주군 고산현 출신이다. 6대조는 사인(舍人)을 지낸 최준(崔濬), 5대조는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최자빈(崔自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유청(崔惟淸), 할아버지는 우후(虞侯) 최한(崔漢)이며, 아버지는 찰방(察訪) 최효원(崔孝源)이다. 부인은 여흥이씨(...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무신. 배무천(裵茂天)의 자는 중부(仲夫)이며, 본관은 성산(星山)이다. 아버지는 기자전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배욱(裵郁)이다. 배무천은 인조(仁祖) 연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선전관(宣傳官)을 지냈다. 이후 배무천은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는 상소를 올린 일이 문제가 되어 전라도 완주군 비봉면(飛...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 살았던 무신. 유지호(柳之豪)[1596~?]의 자는 사준(士俊), 본관은 고흥(高興)으로 선무공신(宣務功臣) 유몽사(柳夢獅)의 손자이며, 병조참의(兵曹參議) 유광(柳洸)의 아들이다. 장인은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영선(李榮先)으로, 자는 극가(克家)이며 최명룡의 문인이다. 유지호는 서울 출생으로 전라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完州郡 飛...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의 무신. 이정표(李廷彪)[1562~?]의 자는 방부(方父),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아버지는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순효(李順孝)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적을 세운 이정란(李廷鸞)은 이정표와 8촌 간이다. 또한 『목산집(木山集)』의 저자로 유명한 조선 후기의 문신 이기경(李基敬)은 바로 그의 6대손이다. 이정표는 1584...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활동한 명나라 출신 무장. 추수경(秋水鏡)[1530~1600]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 황제의 명을 받고 총병아장(摠兵亞將)으로 1592년(선조 25) 12월에 조선에 파견되어 1593년 평양성전투를 비롯해 주요 전장터에서 활약했다. 1597년 남원성전투에 참여하였고, 전주를 사수하다가 중상을 입기도 했다. 전쟁이 끝나고 조선에 남아 전주에 거...
-
조선 전기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거주한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간(李芳幹)[1364~1421]의 호(號)는 망우당(忘牛堂),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아버지는 태조 이성계,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이다. 이방간에게는 세 명의 부인이 있었는데, 첫째는 판서 민선(閔璿)의 딸이고, 둘째는 판서 황형(黃亨)의 딸, 셋째는 정랑 금인배(琴仁排)의 딸이다....